포항 도심 집창촌 어떻게 하나
타 지자체는 잇단 폐쇄방침
주민 “클린포항과 안맞아”
市 “부지매입 예산 부담 커”

구 포항역의 부지 재개발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와 함께 인근 집창촌의 철거를 더 이상 늦춰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최근 폐쇄 의지를 천명한데다 전국 지자체들도 도시정비 과정에서 집창촌 철거를 잇따라 성사시킨 것으로 드러나 포항시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본지는 전국 집창촌 재개발 사례를 통해 지역의 실태를 점검하고, 추진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해본다.

글 싣는 순서

(상) 적극론·신중론 속 존폐 기로
(중) 성매매 여성 자활에도 관심을
(하) 이강덕 시장 체제, 폐쇄 `호기`

지난 9일 `성매매특별법`의 위헌 여부를 가리는 첫 공개변론이 헌법재판소에서 열렸다. 이러한 사회분위기에다 도심 포항역이 폐쇄되면서 역 일대 집창촌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 법 제정의 발단은 2000년 9월과 2002년 1월 전북 군산 대명동과 개복동에서 잇따른 화재로 14명의 성매매여성이 참변을 당하면서다. 이를 계기로 불법 감금과 인권 실태가 수면위로 떠올랐고, 2004년 9월 23일 특별법 시행으로 이어졌다. 이후 경찰의 집중단속 대상이 된 집창촌의 밤이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6·25전쟁 마지막 해인 1953년 역 인근에 생겨난 포항의 집창촌(속칭`중앙대학`)도 쇠퇴일로에 접어들었다.

한 업주는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200~300여 명의 여성이 생계를 이어갔다”면서 “지금은 70~80여 명이 일하는 정도”라며 분위기를 전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2월 4일에 이어 최근 정부가 또 다시 폐쇄 방침을 밝혀 집창촌이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다. 지자체들과 경찰은 물론 세무서까지 나서 폐쇄에서 더 나아가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부지 활용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실제로 춘천시의 속칭 `난초촌`에는 공영주차장이 들어섰고, 파주시의 `용주골`은 대규모 아파트단지 사업, 전북 전주시 `선미촌`은 인근 한옥마을과 연계한 한옥 게스트하우스 거리 조성 등 지역 특색에 맞는 다양한 개발 방안이 쏟아지고 있다.

대구시도 최근 경찰과 함께 `자갈마당`폐쇄 특별팀을 구성해 실태조사와 함께 단속에 나섰다. 인근 경상감영·근대골목 등과 연계한 `순종황제 어가길`조성, 지역 예술가들을 위한 창조 공간 조성을 모색 중이다.

하지만 포항시는 전국적 추세에 크게 못 미치는 모습이다.

한 관계자는 “업소 부지 매입에 예산이 많이 들어 엄두도 내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성매매 여성들에 대한 사후 대책도 동반돼야 하는 만큼 쉽게 결정할 일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시가 철도시설공단 등과 공동 추진 중인 역 부지 활용 사업과 별도로 전담팀을 구성해 도시 이미지 개선과 삶의 질 향상 차원에서 폐쇄를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박현기(48·남구 이동)씨는 “이강덕 시장의 `창조도시 클린포항`기조와 도심 한복판에 홍등을 내건 집창촌은 너무 상반된다”면서 “경찰 출신 시장으로서 시민들이 옛 역광장을 자녀와 손 잡고 거닐 수 있도록 변모시켜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