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설 61년 만에 해체
해양경비안전서로
명확한 업무지침 없어
상당 기간 혼선 우려

▲ 지난해 세월호 참사로 촉발된 해양경찰의 해체 후 국민안전처로 편입된 포항해양경찰서의 간판이 12일 교체됐다. 설치작업 중인 `포항해양경비안전서`와 아직 철거 전인 `포항해양경찰서` 두 가지 명칭이 공존하는 모습이 혼란 속에 업무가 이뤄지는 현 해경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포항시 북구 용흥동에 위치한 포항해양경찰서 간판이 12일 포항해양경비안전서로 교체됐지만 단순히 간판만 바꿨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번 간판 교체는 창설 61년 만에 해체된 해경이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편입되며 이뤄졌다. 하지만 해경에서 경찰청으로 자리를 옮긴 인력과 여전히 해양경비안전서에 남아있는 인력에 대한 명확한 업무지침이 없는 상태에서의 말 그대로 `간판만 교체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게다가 기존 해경의 담당 업무 중 해양에서 발생한 사건은 포항해양경비안전서에서 취급하며, 그 외의 사건은 경찰청으로 이동한 인력들이 담당한다는 기준 외에는 정확한 지침도 없는 실정이다. 오히려 업무 혼란만 부추기고 있다는 질책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지난해 5월19일 박근혜 대통령은 해양경찰의 전격 해체를 선언, 지난해 11월19일 해경경비안전본부로 개편됐다.

이후 2달여 동안 해양경비안전서는 간판 뿐만 아니라 순찰차와 함정의 명칭과 로고, 근무복 등을 바꾸지 못하고 명칭만 바꾼 채 서러운 시간을 보내야 했다.

또 12일 간판을 교체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 명칭과 로고를 교체하지 못하고 그대로 운영하고 있다.

이같은 해경의 설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의 모든 해양경비안전서 소속 로고와 순찰차, 함정 등에 쓰이고 있는 명칭과 로고를 한꺼번에 변경하려면 수백억 상당의 예산이 들어갈 것으로 보이며, 전국의 해경 직원과 전경 등을 바꾸는데도 수백억원 이상이 들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각 함정의 보조선, 구명의 등의 물품까지 교체하면 예산은 수백억원 이상을 웃돌 것으로 전망돼 조직 개편 이후 기존 해경의 색깔을 지우기 위해서는 상당히 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세월호 참사로 인해 푸대접을 받고 있는 해경은 그동안 해상과 육지에서 수많은 일을 해왔다.

포항해경만 하더라도 △1988년 영일만 경신호 침몰사고 △1997년 포항신항 밀출국 사건 △1999년 베트남 화물선 롱쉔호 좌초 △2008년 불법 공조조업 선주·선장 64명 입건 △2012년 글로벌레거시 좌주사고 △2013년 청루15호 방파제 충돌·침몰사고 등 수많은 사건·사고를 처리했다.

/윤경보기자

kbyoo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