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과 양극화 해소
사회적 경제에 길을 묻는다

▲ 영국 사회적 기업 레스토랑인 `브리게이드`의 주방.
▲ 영국 사회적 기업 레스토랑인 `브리게이드`의 주방.

영국은 자본주의의 종주국(宗主國)이며 민주주의의 꽃을 피운 미국에 그 씨앗을 뿌린 원조 국가이기도 하다. 산업혁명으로 일군 부의 그늘에서 소외와 빈부 격차 등 온갖 모순이 싹 텄기에 `공산주의 선언`이 상징하는 맑시즘의 발현은 오히려 자연스러웠다. 국가 체제 역시 합리적 의회제도를 통해 집권을 거듭하고 있는 보수와 진보(노동)의 조화로 발달된 사회보장제도를 낳았다. 민간 부문도 제도가 제대로 정비돼 있지 않아도 기다림 없이 영국 특유의 개성과 자율성을 발휘했다. 세계 최초의 조합인 로치데일소비자조합의 탄생 이후 영국은 사회적 경제의 상징으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번 취재에서 확인된 영국의 선진 현장은 급여 지원을 통해 정부 예산을 축낸 반면교사의 사례인 한국의 사회적 기업이 나아갈 길을 시사하고 있다.

자발적 자선 사회적 전통
협동조합 종주국 위상

장애인고용지원 `렘플로이`
무상 아닌 자활에 중심

공동체운동 상징 `로컬리티`
80년대 불황 극복하며 성장

■ 글 싣는 순서

① 사회적 경제, 불신과 과신의 극복에서
② 제2·제3의 해피브릿지를 꿈꾼다(국내)
③ 조합이 일궈낸 6차산업의 천국(독일)
④ 소방서에서 탄생한 노숙인 셰프(영국)
⑤ 사회적 경제를 지역의 기회로

□장애인 고용알선기구 `렘플로이`

영국의 사회보장제도는 법률적으로 16세기 이후 휴머니즘과 크리스트교주의에 바탕을 둔 `자발적 자선`(charity)의 사회적 전통에 따른 구빈법(救貧法, Poor Law)이 그 배경이다. 이후 본격적인 사회보장제도는 전상 용사와 민간인을 양산한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노동당 정부 당시 시행됐다. 대부분의 유럽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전후 국가들은 막대한 사회복지 수요에 직면한 이래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요람에서 무덤까지`로 상징되는 복지시스템을 정비할 수 있었다.

1944년 제정된 장애인고용법에 따라 이듬해 전액 정부 출자로 설립된 `렘플로이`(Remploy)는 `재고용`의 의미를 내세운 장애인 고용 알선 기구이다. 전국에 27개 지부를 둔 이곳은 무상이 아닌 자활을 중심에 둔 영국 복지의 장애인 부문 본보기이다.

이는 예산 규모에서 잘 드러난다. 수입은 정부지원이 40%, 사업체 운영 수익이 60%로 나눠지는 합리적 체계로 지난해 정부지원금 4천만 파운드를 투입해 장애인 복지 예산의 절감 규모가 9천700만 파운드(1천653억여원)에 이른다. 장애 종류와 성격, 경력 등을 판단해 직장을 `매칭`해주는 `어드바이저`(Advisor)제도 등을 통해 80%의 채용 장애인들이 직업을 유지할 만큼 성과도 좋아 민영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영국 런던 유잼(Ujam) 지부 정책담당관 톰 힉스씨는 “향후 3년간 정부 지원을 마감하고 100% 민간기구로 자립해 완전 경쟁 체제에 놓이게 된다”면서 “유니클로, 테스코 등 고객사들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민영화에 대한 내부 반발은 없다”고 자신했다.

▲ 뛰어난 경영 성과로 민영화를 앞둔 장애인고용알선기구 `렘플로이`의 런던 지부.
▲ 뛰어난 경영 성과로 민영화를 앞둔 장애인고용알선기구 `렘플로이`의 런던 지부.
□부엌의 기적 `브리게이드`

전 세계의 관광객을 불러 모으는 런던 템즈 강변에 자리잡은 연방법원 인근의 `브리게이드`(Brigade)는 노숙자를 전문요리사(chef, 셰프)로 양성하는 사회적 기업 레스토랑이다. 유명 요리사인 사이먼 보일이 동남아를 강타한 쓰나미의 피해현장의 참상에 충격을 받은 뒤 2006년 설립했다. 그는 처음 작은 주방을 임대해 3~4명에서 시작, 이제는 16~60세의 노숙자들을 자립의 길로 인도하고 있다.

폐쇄된 소방서 건물을 3년전 인수해 개조한 이곳은 이제 맛은 물론 그 취지가 널리 알려지면서 고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매니저 세이모어 씨는 “단순한 취업교육에서 벗어나 재단을 설립, 글로벌 회계법인과 정부 지원을 유도한 경영적 접근이 성공 비결”이라고 말했다.

▲ `변화를 갈망하는 지역공동체`라는 슬로건이 인상적인 `로컬리티`의 런던 본부.
▲ `변화를 갈망하는 지역공동체`라는 슬로건이 인상적인 `로컬리티`의 런던 본부.
□공동체운동 NPO의 상징 `로컬리티`

지역을 상징하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로컬리티`(locality)는 지역공동체운동 NPO(Non Profit Organization, 비영리단체)이다. 1992년 설립된 마을만들기 운동기구 연합과 100년 전통의 전국 네트워크를 가진 BASSAC가 합병해 2011년 설립됐다.

지난 80년대 영국 경제의 불황 여파로 대부분 지역들이 쇠락의 길로 빠져들면서 조직의 역량이 발휘됐다. 대표적인 지역재생사업은 바로 영국 남부 헤이스팅스 피어(Hastings Pier) 재개발.

전국적인 해안 관광지였던 이곳은 폐쇄된 채 우범지대로 전락했다가 주민과 의회, 로컬리티의 협력으로 부활했다. 당초 피어가 개발업자들에게 넘어간 뒤 협상이 난항을 겪자 오랜 소송을 거쳐 모금 등으로 조성한 기금 50만파운드에 정부 지원금 1천100만 파운드(186억여원)를 보태 인수, 오는 2016년 재개장하며 한해 35만명의 관광객이 기대된다.

서울시에서 1년 예정으로 로컬리티에 파견된 전영우씨는 “재정난과 복지 부담으로 인해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영국은 공공 서비스를 시민사회로 이양하고 있다”며 “정부 지원에서 탈피해 민간의 자율성과 참여를 중시하는 영국의 현실이 부럽다”고 말했다.

▲ `WESET` 조합원 크리스 씨
▲ `WESET` 조합원 크리스 씨
주민 지분 100% 에너지조합
1천400가구 사용 전력공급

영국 런던 근교 스윈던(Swindon)의 웨스트밀 지역은 넓은 초원과 거센 바람으로 유명하다. 이 지역 주민들이 결성한 `웨스트밀에너지협동조합`(WESET, Westmill Sustainable Energy Trust)의 조합원인 크리스씨를 만나 주요 사업 성과에 대해 들어봤다.

-`WESET`의 결성 유례는.

△`WESET`은 지난 2005년 농민인 아담 트와인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당시 덴마크 내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20%가 지역공동체 소유인데 착안했다. 넓은 농장을 활용해 풍력과 태양열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 25마일(40km) 내 주민들에게 출자 자격을 우선 제공, 2천500여명이 참여해 풍력 터빈 5기를 매입했다. 지역주민이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다.

- 수익 규모는.

△ 풍력 조합은 매년 4천 가구, 태양열 조합은 1천400가구에 사용할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생산된 전기는 영국의 에너지 회사 2곳에 판매된다. 풍력 협동조합에서만 매년 100만파운드(17억여원)의 수익이 나며, 매년 조합원들에게 수익금이 분배된다. 최초투자자들은 원금을 회수했으며 첫 투자 후 25년이 지난 시기에는 8%의 이윤이 기대된다.

-초기에는 주민들의 이견도 많았을텐데.

△조합 설립 초기의 반대는 주로 `태양열 패널이 공간을 많이 차지해 농작물을 심을 수도 없다``동물들이 전선을 씹을 우려가 있어 양이나 염소를 키울 수 없다`등이었다. 이에 따라 방목이나 경작 대신 야생화를 심고 벌 농장 운영 등 대안을 찾아 합의점을 찾았다. 그래서 이제는 초·중학교 학생들의 견학이 잦아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취재 지원을 받았습니다.

/임재현기자 imj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