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① 자유학기제 도입배경과 진행상황
② 연구학교 운영사례<1> 학생 적성과 꿈 찾는 맞춤식 교육방향
③ 연구학교 운영사례<2> 학생 참여와 활동 유도하는 수업유형
④ 자유학기제 문제점과 개선방안

인프라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
“허울뿐인 정책될까” 우려
학부모들 “성적 떨어질텐데…”
시험대체 평가기준 마련 원해

□ 체험활동 위한 인프라구축 절실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이 중학교 교육과정 중에 체험 및 진로탐색 활동을 통해 스스로 꿈과 끼를 찾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됐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자유학기제 지원센터(KEDI)`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원, 문화예술교육진흥원 등 전문·연구기관과 협조해 체험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보하는 등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구학교로 지정된 각 학교에서도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한 체험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의 공공기관, 대학, 기업, 병원 등은 물론 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등 견학지에까지 협조를 구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관련 인프라의 대부분이 집중돼 있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수도권 이외의 지역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이같은 혜택을 받기 힘든 처지에 놓여있다.

인구 53만의 경북 최대규모의 도시인 포항만 하더라도 대형병원, 정부산하기관, 대규모 쇼핑몰, 박물관 등의 부재로 이를 체험하기 위해서는 타지역으로 이동을 감행해야 한다. 그나마 가까운 지역에 위치한 체험현장에서도 학교 측의 협조요청을 받게 되면 난색을 표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숫자의 학생들이 한꺼번에 들어닥치게 되면 다소간의 혼잡이 불가피하게 되고 이는 업무진행에도 긍정적인 영향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처럼 체험활동을 뒷받침할만한 인프라 부문에서 지역간에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현실 속에서 2016학년도 전국 동시운영을 앞두고 뚜렷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자칫 허울 뿐인 정책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한 교육관계자는 “체험활동이 중심이 된 자유학기제의 특성상 외부자원에 도움을 구할 수밖에 없는데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농·어촌학교는 애로사항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교육부는 각 시·도교육청과 연계해 원거리 기관 방문을 위한 차량지원을 비롯해 체험기관과 학교간 협력체계 조성하는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학력저하·사교육 과열도 해결을

자유학기제와 기존 교육정책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특정기간에 집중돼 실시되는 중간·기말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학생의 기초적인 학습성취 수준확인 방법을 학교별로 마련하는 것에 있다. 시험성적이라는 평가잣대에 비춰 학생을 평가하는 과거 제도와는 달리 경쟁위주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개개인에게 숨겨져 있는 능력과 끼를 찾아 진로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어린 학생들은 당장에 시험을 치러지 않아 기뻐할지 몰라도 학부모들은 그렇지 않다. 대다수의 학부모들은 당장 시험을 치르지 않게 되면 이는 곧 학력저하로 이어질까봐 우려하는 것이다. 이처럼 학교에서 충분한 학습성취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한 학부모가 자녀에게 학원·과외 등 사교육의 필요성을 강요하게 될 경우 이는 곧 사교육 과열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학부모 박모(35·여·포항시 북구)씨는 “주변 학부모들은 자유학기제를 시험을 치지 않고 밖에서 놀기만 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이가 대부분”이라며 “이러한 걱정을 불식시키기 위해 체험활동은 그대로 유지하되 시험을 대체할 평가 기준을 마련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포항의 한 입시학원 관계자도 “자유학기제가 체험위주의 활동이 중심이 되다보니 국·영·수 등 기본교과를 등한시 한다는 우려가 생겨 학원을 찾는 학생 수는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학력저하를 막고 학생의 진로·적성을 찾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면 좀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끝>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