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선희 시인

꽃, 핀다 꽃, 터진다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지만 올 봄도 병포 삼거리 벚꽃길 한 번 걷긴 글렀다. 동동거리며 사는 날들은 좀처럼 필 기미가 없고 사시사철 불어대는 얄궂은 바람은 삶이나 꽃이나 피는 족족 떨구기 바쁘다. 그래도 봄인데 한 번은 세상 구경 나서야지. 암만, 그래야지. 바지런한 가구점 형님이 하동 지나 순천만까지 휭 하니 돌아오자 봄나들이를 선동했다. 몇 번을 망설이던 눌태 형님까지 삼삼오오 몰려가 파마도 하고 옷도 한 벌씩 사 입었다.

새벽 다섯 시, 정호반점 앞에서 버스는 출발했다. 아직 동이 트지 않은 포구를 슬그머니 빠져 나가는 관광버스. 모처럼 알록달록 차려입고 나선 모습이 도시 아지매들 못지않다. 오늘만은 장터 좌판 비닐로 꾹 눌러 놓고, 손자 놈에게도 돈 몇 푼 쥐어 주고 나들이 간다. 물장화 고무장갑 냅다 던지고, 고무줄바지 낡은 버선 돌돌 말아 처박고, 꽃내 분내 풍기며 우리도 관광 간다. 굼실굼실 떡도 찌고 돼지머리 꾹꾹 눌러 실었다. 소주도 한 박스 맥주도 한 박스 두둑한 길이다.

“행님요, 나서길 잘했다 아입니꺼. 이래 아니면 행님이나 내나 은제 꽃구경을 나서겠능교. 천 날 만 날 손 얼가가며 꽁치 배때기만 따다 한 평생 다 보낼 끼요. 마, 한 잔 받으소”

가구점 형님이 소주를 들고 좁은 통로 오가며 잔을 권한다. 몇 번이고 손사레 치다가 결국은 에라 모르겠다 받아 마신다. 말간 술 한 잔에 빈속이 화닥화닥 달아오른다. 얼른 새우젓에 쿡 찍은 수육을 안주로 우물우물 씹는다. 버스는 어느새 포항을 벗어나 고속도로를 잘도 달린다. 운전석 위에 걸린 대형 스크린에서는 뽕짝이 울려대기 시작했다.

겨울 내내 과메기 배지기 작업에서 손을 놓지 못했다. 몇 해 전부터 방송이고 뭐고 과메기를 선전해 대는 바람에 겨울이면 네 집 내 집 할 것 없이 언꽁치를 상자떼기로 쌓아 놓고 살았다. 연신 밀려드는 일감이야 반갑기 짝이 없지만 세상에 어디 공짜가 있던가. 언 손은 툭툭 갈라져 거북 등딱지처럼 굳고 온종일 쪼그리고 앉아 칼질을 해대느라 허리는 좀처럼 심을 세우지 못했다. 사흘 건너 한 번씩 한의원에 엎드려 침을 맞고 뜸을 떠도 저릿저릿한 오른쪽 다리는 시원하게 피가 돌지 않는다.

“마, 퍼뜩 일 나소. 놀라꼬 나왔으믄 정신줄 마캐다 풀고 들고 뛰야 된다 아입니꺼. 글캐야 스트레슨지 스트레튼지 금마가 화딱 달라뺀다 아잉교”

무조건 손을 잡아끄는 성화를 이기는 사람은 없다. 아니 죽기로 버틸 이유가 없다. 달리는 버스는 순식간에 춤판이다. 궁디 실룩이며 늙은 형님 젊은 형님 엉기고 성겨 한나절 정신없이 흐른다. 구룡포에서 하동까지 자빠질 듯 자빠질 듯 흔들며 흔들리며 간다. 매화야 피든 동 말든 동, 빗줄기야 치든 동 개든 동 쭉쭉 뻗은 길 따라 술 마시고 막춤 추며 간다. 휴게소에 내려 줄줄이 오줌 누고는 다시 또 간다. 산도 강도 훌훌 흘러간다.

“아따, 좋구나. 참말로 좋데이. 이래 호시절이 있았는 줄 내는 우예 모리고 살았드노. 이래 기 나오이 천지가 봄이고나. 산도 곱고 강도 곱고 니도 곱고 내도 곱데이”

“아고, 문디 행님요, 와 좋은 날 찔찔 짜고 이카시능교. 내사 마 울 행님 데불고 관광 가이 좋기만 하고마. 한나절 몸 풀고 맘 풀고 쏘댕기다 돌아가믄 내년 봄 꺼정은 끄떡없이 또 산다 아이요”

어찌 모를까. 포구에 따개비처럼 붙어 함께 산 세월이 반백년을 넘었다. 복사꽃 같은 시절이 없었겠는가. 길길이 뛰던 청춘이 정녕 없었겠는가. 비린 바람 앞에서 새끼 마중하고 부모 배웅하느라 개복숭나무 꽃필 때마다 솔솔 이는 춘정 삭히며 너나없이 왔다. 가구점 형님이 슬그머니 눌태 형님의 눈물을 닦아 준다. 가슴 치는 뽕짝 사이로 봄밤 내내 염창골 흔들던 소쩍새 울음이 쑴벅쑴벅 들려온다. 비로소 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