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성 3호` 도발적 행동 대북지원 부정적 영향 강력 시사

미국 정부는 21일(현지시간) 북한의 미사일 발사 계획과 관련, 북한 내 미군 유해 발굴 활동을 중단키로 했고 북측에도 이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북한이 지난주 `인공위성` 광명성 3호를 4월에 발사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미 정부의 첫 공식 대응으로, 대북 식량지원 계획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임을 강력히 시사하고 나서 향후 북미관계가 주목된다.

조지 리틀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로켓 발사계획을 포함한 북한의 최근 도발적인 행동들 때문에, 한국전 때 희생당한 미군의 유해 발굴팀을 북한에 이달 중 보내려던 계획을 우선 중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은 우리의 이번 결정과 이유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말해, 북측에 사전 통보했음을 분명히했다.

리틀 대변인은 그러나 유해발굴팀이 북한으로 떠나기 전에 방문 계획이 중단됐는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언급하지 않았다.

리틀 대변인은 다만 “북한이 최근 적절하게 행동하지 않았다고 믿기 때문에 유해발굴 노력을 중단했다”면서 “북한이 국제 사회가 요구하는 행동 규범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은 일정한 시기에 미군 유해 발굴에 다시 나서게 되기를 바란다”면서 “하지만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려 하고, 한국에 대한 호전적 발언을 계속하며, 도발적 행위를 멈추지 않는 한 유해발굴 활동을 하기엔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존 커비 국방부 수석대변인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면 국제적 임무를 위배하게 되는 것인데도 미사일 발사를 계속 추구할 경우 다른 반향들(repercussions)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 북의 미사일 발사가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 계획과 연계될 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했다.

앞서 미국과 북한은 지난 1996년 유해 발굴을 시작, 220여 구의 유해를 발굴했으나 2005년 부시 행정부가 북한 내에서 미 발굴팀의 안전을 우려해 이를 중지시켰다.

그러다 지난해 10월 미국과 북한은 태국 방콕에서 열린 북미회담에서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미군은 한국전쟁 기간 7천900여 명이 실종됐고 그 중 약 5천500명의 유해가 북한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9일 외교안보관계 장관회의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계획을 중대도발로 규정하고 26~27일 개최되는 핵 안보정상회의에서 미·일·중·러·EU(유럽연합) 등 관련국 정상들과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맞서 북한은 21일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서 북핵과 관련된 `성명 발표` 등이 나올 경우 이를 북에 대한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이번 핵안보정상회의는 핵테러 문제에 논의를 집중하고, 북한의 핵개발 문제에 대해서는 부수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