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오랜 만이다. 오롯한 혼자만의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내 경우 `혼자만의 시간`이란 모니터 앞에서 `쓴다는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단 한 줄의 글이라도 건지기 위해 책상 앞에 앉는다. 독자와의 약속이라니 무조건 시작해야 한다. 한데 자발적 욕구가 아니라 밀린 숙제를 하는 심정이니 맘이 편치 않다.

담당 기자의 청탁 전화에 시달리는 것도 귀찮고, 저러는 심정도 오죽할까 싶어 새해부터 시간 나면 한 꼭지씩 써주겠다고 선심 쓰는 척한 게 화근이었다. 이리저리 통화를 미루는 사이, 벌써 새 집필진 관련 사고(社告)는 나갔단다. 발을 뺄 수 없게 만들었으니 담당 기자가 고단수임에 틀림없다. 코너 제목, 글 쓰는 방향, 소재거리 등 모든 걸 느긋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지금 당장 시작이라니!

게으름을 물리치고 발딱 일어나긴 했다. 하지만 책상 앞으로 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기만 하다. 그간 글 좀 쓰고 싶다는 욕구는 빈둥거리는 내 안의 악마 앞에서 거의 백전백패였다. 쓰고 싶다는 열망과 쓰는 행위의 간극은 히말라야 설원의 크레바스처럼 깊고 아득하기만 하다. 어느 작가가 말했단다. 침대에서 일어나 글을 쓰기 위해 책상 앞으로 가는 길이 가장 먼 길이라고. 잘 쓰고 못 쓰고를 떠나 쓴다는 행위 자체가 얼마나 힘겨운지를 잘 말해주고 있어 절로 공감한다.

평생의 과업처럼 글쓰기의 중요성을 깨치면서도 정작 진득하니 엉덩이 붙이고 쓰는 일에 집중하지 못했다. 게으름 탓이다. 그 어떤 면죄부도 바랄 수 없는 명백한 자기 발전의 적 게으름. 그걸 잘 알면서도 쉽게 넘어서지 못하고 핑계거리만 찾았다. 생활인으로서 품위유지비도 벌어야 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주어진 책임감도 완수해야 하고, 주부로서 집안일도 건사해야 하고. 나열할 가치조차 없는 이런 핑계들은 내 박약한 의지의 이음동의어에 지나지 않는다. `백수 과로사한다`는 시쳇말처럼 실속 없이 바쁜 척해가며 자기 위안을 삼았지만, 그건 글 못 쓴 것에 대한 변명은 결코 될 수 없다.

어떤 일이든 습관이 성패의 반을 좌우한다. 고백하건대, 나는 아직 쓰는 습관에 제대로 길들여지지 않았다. 삶이 구차하고 굴욕적이고 쓰라렸던 한 때, 단 하루도 쓰지 않으면 잠들지 못한 시절도 있었다. 내면의 절실한 요청에서 쓴 글은 그대로 위안이 되고 카타르시스가 되고 삶 그 자체가 되었다. 일상이 힘겨웠지만 쓸 수 있다는 희망 덕분에 견딜만할 시간들이었다. 하지만 쓰지 않고도 평온이 보장되는 타협 이후에는 쓰는 것 자체가 고역이 아닐 수 없었다. 써야 하는 절박함의 자리를 꿰찬 애매한 평화의 시간들은 겉으로는 안온해보였다. 하지만 결과는 늘어나는 엉덩이 비곗살과 미련해진 감각 뿐.

스스로를 향한 채찍처럼 시작한 글쓰기가 내 안에선 숨은 별, 나가서는 작은 위안이 되기를 바라면서 이 연재를 시작한다. 절절한 욕구는 순정한 목표를 낳고, 그 목표는 좋은 습관을 낳고, 그 습관은 좋은 결실을 맺는다는 억지 위안을 삼으면서. 크게 쓰거나 많은 걸 보여주려는 욕심은 애초에 없다. 다만 생활 속에서 길어 올리는 짧은 생각 한 두레박으로도 만족할 생각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코너는 요즘 유행하는 관용구인 `생활의 발견`이란 이름을 빌려와도 좋겠다.

새해, 새 결심처럼 내 안의 허영덩어리 하나 해처럼 솟구친다. 실은 새로울 것도 없는 그 덩어리가 내 몸이, 내 맘이 원하는 절절한 쓰기의 실체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침대에서 글 쓰러 가는 책상까지의 거리가 아주 먼 길이 아니라 조금은 가까운 길이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