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휴일궤(功虧一?)

`공휴일궤(功虧一?), 흙을 돋우어 산을 만들 때, 높이 쌓은 공이 한 삼태기의 흙때문에 이지러뜨려질 수 있다는 뜻.

즉 잠깐의 사소한 방심으로 해서 다된 일이 실패로 돌아감을 말한다.

`서경` `여오`편에 나오는 말이다. `논어` `자한`편에도 이와 비슷한 말이 나온다. `서경` `여오`편에 이런 기사가 있다. 무왕이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주왕조를 열고 나서 얼마 후였다.

주의 위세가 나날이 떨쳐지게 되자 변방 여러 만족들이 다투어 공물을 헌상했다.

그중에 여라는 나라로부터 헌상된 오라는 진귀 한 개가 있었다.

오는 키가 4척에 이르는 큰 개로서 사람의 뜻을 잘 아는 여물이었다. 무왕은 이 선물을 앞에 놓고 크게 기뻐했다.

그것을 본 아우 소공석이 그따위 것에 마음을 빼앗겨서 정치를 소홀히 하면 안된다고 무왕에게 간하였다.

소공은 사람을 희롱하면 덕을 잃고 물건을 희롱하면 뜻을 잃는다는 완인상덕 완물상지의 경고를 하고 이어서, “아아 밤낮으로 덕에 뜻을 두지 않을손가 작은 일이라도 삼가지 않는다면 끝내 대덕을 이루지 못하리니, 산을 만드는 일에 구인의 공을 한 삼태기의 흙으로 이지러뜨린다”라고 노래함으로써 무왕을 경계하였다.

산을 만드는 데 아홉 길의 높이까지 이뤘다 해도 얼마 안되는 한 삼태기의 흙이 부족하면 산이 완성되지 않는 것처럼, 주 왕조 창업의 위대한 공적도 단지 한 마리의 개에 마음을 빼앗겨 잠깐 방심한다면 그르칠 수 있다는 것을 깨우친 것이다.

한편 `논어` `자한`편에도 다음과 같은 공자의 말이 기록되어 있다. (학문하는 것을) 비유하자면 산을 만듦에 마지막 흙 한 삼태기를 (붓지 않아 산을) 못 이루고서 중지하는 것도 내 자신이 중지하는 것과 같으며 비유하면 (산을 만드는 데) 평지에 흙 한 삼태기를 붓는 것이라 하더라도 나아감은 내 자신이 나아가는 것과 같다.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우리 속담이 있다. 차근차근 시작함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공휴일궤`라는 말은 마지막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을 말한다. 천릿길의 시작은 처음 한 걸음부터이지만, 그 길의 완성 또한 마지막 한 걸음인 것이다.

/쌍산 김동욱 한국서예퍼포먼스협회 상임고문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