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정만리(鵬程萬里)

붕조가 만리를 날아감, 곧 머나먼 여로나 앞길이 아주 양양한 장래를 뜻하는 말이다.

`붕곤`이니 `붕도`니 하는 말도 여기서 비롯된 말들이다. 장자 소요유 편에서 시작된 말이다.

전국시대 도가의 대표자 장자는 `소요유`편에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북해의 끝에는 곤이라는 이름의 큰 물고기가 살고 있다. 곤의 크기는 몇천리가 되는지 모른다. 그 곤이 화해서 붕이라는 새가 된다.

붕의 등도 몇천리의 길이인지 모른다. 이 붕새가 한번 날개를 탁 하고 쳐서 솟아오르면, 그 날개는 하늘을 구름처럼 덮어버리고 바다가 출렁거릴 큰 바람이 일어나는데, 단번에 북해 끝에서 남해의 끝까지 날아간다. 세상의 신기한 일을 적어놓은 제해에 의하면, 붕새는 한번 바닷물을 차올리는데 3천리나 되는 회오리바람을 타고 오르며 9만리를 여섯 달 동안 쉬지 않고 난 후에야 비로소 그 날개를 한 번 접고 쉰다고 한다`

장자는 자연속에 묻혀 대상과 내가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꿈꾸던 인물이다.

그가 이 엄청난 새의 이야기를 한 것은 세속의 상식을 뛰어넘어 무한의 자유의 세계에 거니는 위대한 자의 풍모를 말하려던 것이다.

여기서 유래되어 `붕곤`, `곤붕`이라 하면 상상할 수 없을 만치 큰 것을 의미하게 되었고, `붕배`, `붕익`도 역시 거대한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됐다.

붕익은 특히 항공기를 형용하는 말로도 쓰인다. 또한 `붕박`, `붕비`, `붕거`라는 것은, 크게 분발해 어떤 일을 하려는 기세를 비유하며, `붕도`는 웅대한 계획이나 포부를 의미한다.

때로는 우리가 늘 접하는 일상에서 벗어나 정신을 쉬게 하고 싶을 때가 있다.

우리가 늘 접하는 범위란 다름아닌 우리 일상사의 범위이다. 나의 가족, 나의 사회, 나의 나라, 나의 세계로 넓혀 보아도 모두 우리라는 울타리에 지나지 않는다.

아주 멀리 우주가 뻗는 곳까지 정신을 날아오르게 하여, 그 까마득한 곳에서 다시 우리가 사는 곳을 내려다보기도 하고, 그대로 시선을 멀리멀리 뻗어 가게 놓아두기도 해보자. 그것이 휴식이다.

우리는 우리의 정신을 그런 무한한 휴식 속에 놓아둘 필요가 있다. 우리는 그곳에서 아마 붕새나 혹은 나비가 되어 날고 있는 장자를 보게 될지도 모른다.

/쌍산 김동욱

한국서예퍼포먼스협회 상임고문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