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심암귀(疑心暗鬼)

`의심암귀(疑心暗鬼)`, 의심하는 마음이 있으면 있지도 않은 귀신을 낳는다. 곧 의심하는 마음이 있으면 갖가지 무서운 망상이 솟아나 불안해진다는 뜻이다.

올바른 판단을 그르치는 선입관의 해를 경계하는 속담으로서 `의심생암귀`가 원말이다.

`열자` `설부`편, `한비자` `세난`편 등에 이와 관련된 고사가 있다.

어떤 사람이 도끼를 잃어버렀다. 틀림없이 누가 훔쳐갔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자. 아무래도 이웃집 아이가 수상쩍었다.

아까 길에서 자기와 마주쳤을 때도 흘끔거리면서 도망치듯 가버렸었다. 그 표정이나 말투도 어쩐지 어색했다.

`틀림없이 저 녀석이 내 도끼를 훔쳐갔다` 이렇게 속으로 믿고 괘씸하게 여기고 있던 어느날 그는 지난번 나무하러 갔다가 발두렁에 도끼를 놓고 온 것이 문득 떠올랐다. 가보니 도끼는 그대로 있었다.

그가 도끼를 들고 집에 돌아와서 이웃집 아이의 거동을 다시 보니 이번에는 그 태도가 조금도 수상하게 보이지 않는 것이었다.

이런 이야기도 있다.

어떤 사람의 집 마당에 있던 오동나무가 말라 죽었다. 그런데 이웃의 노인이 오동나무가 죽으면 운수가 나쁘다고 충고했다. 그 바람에 주인은 급히 나무를 잘라버렸다.

그랬더니 그 노인이 찾아와 땔나무로 쓰게 달라고 했다.

“옳거니. 땔나무로 쓰기 위해 날 속여 나무를 자르게 했구먼 이웃지간에 이럴 수 있는 겁니까!” 주인은 이렇게 화를 벌컥 냈다.

정말로 노인의 속셈이 그랬다면 모르겠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공연히 친절히 충고해 줬다가 터무니없는 의심을 산 셈이 됐던 것이다.

또 이런 이야기도 있다.

`한비자` `세난`편의 이야기다.

송나라에 한 부자가 있었다. 한번은 장마가 져서 토담이 허물어졌는데, 아들과 이웃집 사람이 그것을 보고 빨리 수리하지 않으면 도둑이 들겠다고 충고했다.

그런데 그날 밤 과연 도둑이 들어 재물을 훔쳐갔다.

그러자 부자는 아들에 대해서는 선견지명이 있다고 칭찬하면서, 이웃에 대해서는 수상하다고 의심했다는 것이다.

사람의 마음은 이와 같다. 의심하려 들면 끝이 없다.

일단 한번 의심하기 시작하면 그 목소리도 도둑이요, 그 행동도 도둑이요, 그 웃는 모습도 도둑이요, 그 눈빛도 도둑이라는 것이 되고 만다. 그러니 공연히 사람을 의심하지 말 일이며 의심받을 일도 아예 하지 말 일이다.

/쌍산 김동욱

한국서예퍼포먼스협회 상임고문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