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를 널면서 할머니는 바람을 살핀다. 반죽 보다 바람에 더 민감한 것이 국수다. 바람이 많이 불면 촘촘하게 널고 바람이 잔잔하면 간격을 조금 넓혀 넌다. 반죽 실패는 드물지만 바람에 의한 실패는 지금도 간혹 생긴다. 갈바람이 불면 국수는 이내 바삭바삭해져 버린다. 너무 빨리 말라버리기 때문이다. 갈바람과 하늬바람이 섞여 오면 눈으로는 차이가 없어 보여도 삶았을 때 동강이 많이 난다. 햇볕에 말리는 국수는 뭐니 뭐니 해도 샛바람이 최고다. 할머니는 대보에서 구룡포쪽으로 불어오는 샛바람, 바다에서 불어오는 갈바람, 산에서 내려오는 하늬바람을 몸과 마음으로 감지한다.

국수 가락이 바람에 살짝 말라 빠닥빠닥해 지면 일단 걷어야 한다. 창고에 보관 했다가 다음날 오전에 한 번 더 말린 뒤 재단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재단에 필요한 도구는 간단하다. 약 25cm 간격으로 다섯 개의 쇠기둥이 양쪽에 선 재단틀과 손잡이가 양쪽에 달린 큰 칼, 그리고 매무새를 정리하기 위한 사각 나무판이 전부다. 건조장 바닥을 깨끗하게 쓸고 닦은 뒤 풀 먹인 듯 잘 마른 국수를 한 줄씩 걷어 틀에다 올리고 먼저 양끝을 자른다. 그리고는 쇠기둥을 기점 삼아 다시 세 등분으로 자른다. 큰 다발이 흩어지지 않도록 질긴 종이로 띠를 둘러 차곡차곡 쌓아 놓는다. 부러져 바닥에 떨어진 국수 가락은 하나하나 주워 따로 담는다. 세 종류의 국수를 모두 걷어 재단 작업을 하다보면 하루는 참으로 급히 저문다. 아들들이 제 집으로 돌아가면 할머니는 다시 주말이 올 때까지 탁자에 앉아 큰 다발을 풀어 작은 다발을 만들고 상자에 차곡차곡 담으며 간간이 장사를 한다.

제일국수공장 오래된 국수틀은 롤러가 세 개인데 요즘 나오는 기계는 큰 롤러가 여섯 개다. 손을 안 써도 자동으로 감기고 순서대로 알아서 척척 옮겨간다. 게다가 한 시간에 서른 포대나 국수를 빼는 기가 막힌 실력을 가졌다. 손도 모자라고 힘도 들어 그것으로 바꿀까도 생각했지만 가격이 엄청나다. 게다가 기계의 크기도 제일국수공장 규모로는 감당할 수 없다. 아들들은 고생하지 말고 땅을 좀 사서 조립식 창고를 지어 인부도 좀 고용하고 건조도 열풍으로 쉽게 하라고 하지만 할머니는 그럴 생각이 없다. 돈도 돈이지만 큰 공장에서 만드는 국수가 하나도 부럽지 않기 때문이다. 큰 공장에서는 거대한 롤러로 밀기 때문에 색깔은 희고 매끈해 보인다. 그러나 선풍기나 열풍으로 건조를 시키므로 한 번 삶아 건져 놓았다가 다시 손님들에게 데워 낼 때는 떡떡 붙어서 잘 풀리지 않는다. 비가 다녀가고 눈이 다녀가 까다롭긴 해도 하늘이 베푸는 자연풍만큼 국수 맛을 옳게 내는 것은 없다는 걸 할머니는 잘 안다.

“오래 전 우동집들은 손으로 쳐서 면을 만들었어. 고등학교 중학교 졸업식날 짜장면 손님이 몰려오면 감당할 수 없어 우리 공장에 우동 국수를 주문하기도 했지. 물 한 양동이 달라해서 주면 그 물에 하얀 것을 넣어주며 그걸로 반죽을 해달라고 하데. 그 물을 손으로 만지면 매끈매끈 했어. 그게 뭔지 모르지만 우동 국수를 빼면 색깔이 노르스름하고 삶아 놓으면 유난스레 쫄깃쫄깃 했지.”

예전에는 날마다 국수를 만들었다. 하루에 40포대나 되는 밀가루를 쓰기도 했다. 그러나 요즘은 주말에만 약 30포대 정도로 국수를 만든다. 일손이 없는 이유도 있지만 국수 소비 역시 예전만 못하기 때문이다. 요즘은 예식장이고 장례식장이고 쉽고 편하게 음식을 주문하는데다 무엇보다 먹고사는 일에 궁색하지 않은 시절이다. 슈퍼에 가면 갖가지 국수가 다 있는데도 아직 국수 삶아 파는 집에서는 제일국수공장 국수를 찾는다. 구룡포초등학교 앞 찐빵과 단팥죽으로 유명한 철규분식도 황외과 앞 할매국수집도 수십 년 단골이다. 장사하는 이들에겐 이윤을 남기라고 일반 국수보다 양을 조금 더 담는다. 요즘은 장기면에서 산딸기축제를 할 때 특산품 홍보를 위해 산딸기 즙을 가져와서 국수를 빼달라고도 하고, 또 콩이 몸에 좋으니 콩가루를 섞어서 콩국수를 해달라고 주문하는 식당도 있다.

장터에 세집이 나란히 앉아 국수를 만들던 시절도 옛말이다. 대보국수공장은 아저씨가 돌아가시자 일을 접고 포항 시내로 이사 나갔고 오천국수공장은 떡집으로 업종을 바꾸었다. 연일에도 셋이 합동으로 차린 국수공장이 있었는데 오래 전 큰 비에 그만 문을 닫았고, 오천에도 포항에도 이젠 가내 수공업으로 국수를 만드는 공장이 없다. 국수공장을 지나면서 봄 햇빛에 국수 마르는 냄새를 킁킁 맡던 기억도, 고운 국수 가락 몰래 끊어 똑똑 분질러 먹던 추억도 사라졌다.

“지금 걸린 간판 나이가 마흔한 살이야. 개업할 때 우체국장이 직접 나무판에 써서 걸어주었지. 그 양반은 혼자서도 국수를 자주 끓여 먹곤 했어. 글쎄 포르르 끓어오를 때 찬물을 솔솔 뿌리고 또 끓으면 찬물을 뿌려가며 잘도 끓였지. 우리집 국수를 유난히 좋아하던 그 양반도 돌아가셨다.”

할머니는 국수가 한없이 기특하다. 이 가느다란 것에 묶여 세상 구경 한 번 옳게 못하고 살았지만, 아이들을 다 가르치고 시집 장가보내고 집도 사주게 했다. 국수를 만들며 시름을 건너왔고 국수를 주고받으며 이웃과 정분을 쌓았다. 그러나 이렇게 국수 가락 쥐고 노는 재미도 언젠가 힘이 달리면 그만 둬야 한다. 거친 손끝에서 뽀얗게 묶이는 국수 다발이 서서히 저무는 장터를 보고 있다. 탈칵탈칵 제일국수공장 국수틀 돌아가는 소리, 샛바람이 불면 좋아라 국수 가락 마르는 소리, 언제까지 그 노래 들을 수 있을까?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