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돼지 조각상, 극락전 편액 뒤 황금돼지
불국사에는 흔히 불국토라 부르는 대웅전을 오르는 자하문과 극락전을 오르는 안양문이 있다. 안양(安養)이란 말은 불교에서 극락을 의미한다. 한 때 불국사의 극락전에서 황금돼지가 나왔다 하여 세간에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극락전 편액 뒤에 감춰져 그동안 방문객들의 눈에 잘 뜨이지 않다가 발견되어 돼지띠의 해 정초에 전국적으로 소문이 퍼지게 되었고 소문을 들은 수많은 사람들이 이를 확인하러 몰려들어 불국사 극락전은 연일 북새통을 이룬 적이 있었다.

불국사 측에서는 관람자들을 위해 극락전 측면 기단 좌우로 임시 나무계단까지 만들어 놓았고 극락전 앞마당 석등 앞에 석주까지 세워 그 위에 돼지를 한 마리 새로 만들어 앉혀 놓았다. 우리는 흔히 돼지를 경제적 부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생각한다.

1593년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듬해 부산에 진을 치고 있던 왜군 10여명이 불국사에 참배하러 왔다가 불국사 스님들이 감춰 둔 무기를 발견하고 격분해 불국사 전역에 불을 지르고 만다. 하지만 신라 후손들의 불심(佛心)은 쉬 꺼지지 않았고 조선 영조 26년(1750)에 극락전은 다시 중창된다. 대화재 이후 상부의 목조건물은 모두 소실되었지만 하부의 석조물은 그대로 남아있었다. 신라 때 대목(大木)이 지은 바로 그 자리에 조선의 대목이 조선시대의 치목수법과 양식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팔작지붕 극락전을 다시 일으켜 세운 것이다. 극락전의 창호는 정면과 배면에 설치했다. 특히 정면 `어칸`(가운데 칸)은 덧기둥을 2개 세워 3분할하고 빗살청판분합문을 각각 2짝, 3짝, 2짝을 설치했다.

지금이야 크레인 같은 각종 건축 기계설비가 많아서 집 짓는 기간이 얼마 소요되지 않지만 400여 년 전 그 때는 그렇지 못했다. 대목이 절집을 짓기 위해 가족을 뒤로하고 집을 나서면 여생을 다 바칠 각오로 일을 시작했어야 했다. 그래서 당시의 절집에는 대목의 숨은 애환이 군데군데 남겨져 있다. 불국사 극락전 편액 뒤에 감춰진 황금돼지 또한 그 중 한가지일 것이다.

임진왜란 7년, 병자호란 2년을 치른 후 민초는 굶주림에 시달리고 나라살림이 어려웠을 때 법당을 다시 일으켜 세우던 조선의 대목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아마도 민초의 굶주림과 나라의 경제적 부흥을 기원하였을 것이다. 그렇게 대목의 손에 의해 만들어 진 것이 바로 금돼지가 아닌가 생각한다.

그런데 사람들이 극락전 편액 뒤에 감춰진 금돼지는 찾으면서도 대웅전 전면 좌측 주간포에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돼지를 보지 못함은 왜일까? 어떤 이는 극락전 돼지가 대웅전 돼지의 어미라고 하는데 대웅전(1660)이 극락전(1750) 보다 먼저 중창된 건물이니 뒤바뀐 얘기가 아닐까. 직접 보고 비교해보는 것도 볼거리가 될 것 같다.

영남이공대 교수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