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27명의 사상자를 낸 포항 인덕요양센터 화재 참사로 인해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하는 노인과 가족들의 불안감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2008년 8월 이전에 개원한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은 간이 스프링클러와 화재경보기 등이 설치돼 있지 않아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또다시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포항지역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을 긴급 점검해봤다.

내부서만 출입구 개방되고 야간 상주직원 고작 1명

소방안전교육도 주로 경로당서 이뤄지는 등 `형식적`

13일 오전 포항시 북구 한 노인요양시설.

치매와 중풍 등 중증장애를 가진 고령의 노인 15명이 생활하고 있었다.

취재 도중에도 사무실에는 전화가 빗발쳤다.

인덕노인요양센터 화재 이후 불안감을 느낀 입소 노인 가족들의 문의전화가 끊이지 않았다.

2층 건물 중 1층만 요양시설로 사용되고 있는 이곳의 입구는 내부에서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자동화 돼 있었다.

외부인 출입을 막고, 치매 등을 가진 노인들이 임의로 외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그러나 관리자 부재 중에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대부분의 입소 노인들이 출입문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 출입문을 개방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컸다.

2007년말 392㎡ 규모의 건물로 개소한 이 시설의 경우 2008년 개정소방법 적용을 받지 않는 탓에 불이 났을때 자체 진화가 가능한 간이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았다. 화재감지기 9개와 시각경보기 7개, 투척 소화기 등이 비치돼 있는 점은 다행스러웠다.

이번 참사의 진원지인 인덕노인요양센터 시설장 이모(65)씨의 아내가 운영하는 또다른 노인요양센터.

244㎡ 건물 5개의 방에서 9명이 생활하는 이곳에는 병실마다 갖춰야 할 소화기가 2개 밖에 없었고, 스프링클러는 찾아볼 수 없었다. 화재경보기도 설치돼 있지 않았고, 야간에는 1명의 직원만 상주해 화재가 났을 경우 초동대처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곳 역시 출입문이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돼 있었다.

이처럼 포항지역 노인요양시설 23곳 중 47.8%만이 화재 시 초동 진화의 필수 조건인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었고, 대부분의 노인요양설 안전관리자들이 형식적인 소방안전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소방안전교육도 노인요양시설보다는 경로당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포항남부소방서 관계자는 “소방법 적용을 받지 않는 소규모요양시설의 경우에도 화재에 대처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도록 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남희기자 ysknh0808@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