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광수(60·사진) 연세대 교수가 신작 시집 `일평생 연애주의`(문학세계사)를 펴냈다.

우리 사회에 존재해 온 육체적 욕망에 대한 이중성을 비판하고 `성의 신성화`라는 뿌리 깊은 위선과 기만에 반기를 들었던 마 교수는 이번 시집을 통해 새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간 시·소설을 넘나들며 에로틱 판타지라는 문학적 장치를 통해 (性)을 모든 금기에서 해방시켜 자유롭게, 주체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즐길 것을 제안했던 마 교수는 이번 시집에서 기존의 작품에서 보여줬던 도발적이고 대담한 성적 담론뿐 아니라 삶이 주는 허망함, 쓸쓸함을 쉽고 명쾌한 언어로 묘사해낸다.

1977년 박두진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마 교수는 시집의 자서를 통해 “시는 내 문학의 본원”이며, “감상과 퇴폐는 내 시의 영원한 화두”임을 분명히 한다.

그러면서 시인은 이번 시집에 묶인 자신의 시들에 대해 비애감과 황홀감을 느끼는데, “비애감은 주로 늙어감의 슬픔에서 나온 것이고, 황홀감은 주로 관능적 판타지에서 나온 것”이라 고백한다.

마광수식 에로티시즘이 주를 이루는 `일평생 연애주의`는 전통적으로 `서정시`가 갖는 장르적 정체성을 해체하고 창조적으로 넘어서려는 발화 방식을 통해 몽상적인 성적 판타지와 자유로운 담론적 일탈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번 시집에서는 기존의 작품에서 보여 주었던 도발적이고 대담한 성적 담론뿐 아니라 등단 초기 `광마집`과 `귀골`에서 보여줬던 작품의 연장선상에 있는 인간 존재의 근원적 이유를 철학적 명상으로까지 이끌어내기도 한다. 이는 올해 환갑을 맞은 마광수 시인의 정신적, 문학적 변모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육체적 접촉이 없는 만남이란 전혀 의미가 없어/그래서 몇 년 전부터는/친구들을 만나는 것도 귀찮고 따분하게 여겨져//하긴 그런 이유에서 진짜 우정은 반드시/동성애로 발전해야 하는 건지도 모르지//살을 섞는 만남, 피부끼리의 살갗접촉(skinship)에 의한/섹시섹시한 만남만이/진짜 이심전심의 만남이 될 수 있어”(`정신적 사랑은 가라` 중)

뒤집어 생각해본다면 위반의 충동을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금기란 이미 금기라고 할 수 없다.

강력한 금기일수록 위반에의 유혹은 더욱 강렬할 것이니, 이 경우 금기가 금기일 수 있는 것은 그 속에 이미 이와 같은 위반에의 충동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금기란 어쩌면 애초부터 위반을 전제로 함으로써만 의의를 지니는 것이라고 뒤집어 생각해볼 필요는 없을까.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마광수 `일평생 연애주의` 문학세계사 刊,1만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