沙泉帶草堂(사천대초당) 모래샘이 초당과 마주하고

紙帳卷空牀(지장권공상) 책갈피가 책상위에 뛰논다.

靜是眞消息(정시진소식) 고요함은 이것이 진정 소식이러니

吟非俗肺腸(음비속폐장) 읊조리는 시구 속세의 마음 아니라네.

園林坐淸影(원림좌청영) 정원 숲속의 맑은 그늘 아래 앉아

梅杏嚼紅香(매행작홍향) 매실과 살구 씹으니 붉은 향기 그득하다.

誰住原e¥¿寺(수주원서사) 누가 원서사에 머물러

鐘聲送夕陽(종성송석양) 종소리를 저녁 햇살 아래 보내는가.





`국역 철성연방집`

(도서출판동강폼, 2008)







한시 `초당`의 저자 이암은 초명(初名)이 군해, 자(字)는 고운(古雲)이었다. 공민왕 13년(1364년)에 공(公)이 돌아가시니 임금께서 시호를 문정(文貞)이라 하였고, 다음 해에는 화공에게 공의 초상을 그리게 하고 술을 내려 제사를 모시게 했다. 공의 벼슬은 충목왕 때 찬성사와 충정왕 때 좌정승에 이르렀고, 잠시 벼슬에 물러나 있다가 공민왕 때 다시 수문하시중을 역임했다. 홍건적 침입 때는 병마도원수직을 감당하여 외적의 침입을 격퇴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조선 전기 최고의 시인인 서거정은 행촌(杏村) 이암의 시를 두고 `고고간결(高古簡潔)`이라 평했다. “靜是眞消息/吟非俗肺腸”이라는 시구는 이러한 이암의 고아(古雅)한 시경(詩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특히 마지막 시구 “誰住原西寺/鐘聲送夕陽”은 현대시의 경계를 뛰어넘고도 남는다.



<시인>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