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 스님 보경사 주지
한국의 하늘은 유난히 푸르다. 그 푸름의 오묘함은 가을에 더욱 빛을 발한다. `눈이 시리게 푸르른 날`이라고 미당(未堂)은 노래했다. 어찌나 푸르던지 그 바라봄에 그만 눈이 시리다. 넘치는 말이 아님을 우리의 하늘을 본 사람이라면 넉넉히 공감할 구절이다.

근래 가을 하늘에 관한 여러 이야기를 들었다. 특히 색에 관한 것이었는데 그것을 표현할 색감(色感)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빛깔을 맞춰도 색이 갖는 감(感)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흉내는 내도 한국의 가을이 가진 정서에는 다다르지 못한다는 것이다. 바탕에 흐름을 바르게 옮기지 못하면 몸은 왔어도 혼백은 없는 허수아비꼴이 되는 것이다. 그 색(色)이 무엇이 길래 어떤 색이기에 그렇게 힘들까. 쪽빛. 그것은 바로 쪽빛이다. 한국인이라면 쪽빛이 어떤 색을 이르는지 대강은 알고 있다. 우리의 가을하늘을 말할 때 코발트빛 푸른 하늘, 보다 좀 더 한국적인 색감으로 `쪽빛`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쪽빛은 어떤 색인가. 어떻게 대답할까. 푸른색, 남색, 좀 더 고급한 표현으로 마린블루, 코발트블루, 그러나 결국 돌아오는 답은 쪽빛은 쪽빛이라는 답이다.

미술평론가 손철주씨의 `꽃피는 삶에 홀리다`에 보면 염장(染匠) 한광석씨의 답변이 나온다. 시인 김지하는 꿈결 같은 색이라 말하는데, 그렇다면 평생 쪽물을 들여온 염장(染匠)의 입에서는 쪽빛에 대한 분명한 답이 올듯하다. 그러나 그의 입에서는 더욱 모호한 답이 나온다. 청(靑)도 아닌 것이 벽(碧)도 아닌 것이 아닌 것이? 그렇다면 무슨 색이란 말인가. 염장은 그저 까마득한 색이라 말한다. 까마득한 색이라. 이 대목에 이르면 더 이상 물어볼 말이 없어진다. 청(靑)이니, 벽(碧)이니, 람(藍)이니 하는 푸름도 쪽빛의 그것을 담기에는 부족해서 결국은 시각(視覺)을 접고 생각을 접게 만드는 까마득한 색이라는 것이다.

한국의 색을 흰색이라 하지만 청자와 가을 하늘, 소나무와 대나무의 푸른기상을 사랑했던 조상들을 보면 흰색만큼이나 푸른빛을 좋아했던 것 같다. 민족마다 선호하는 색깔이 다르며 개인도 호불호(好不好)의 그것이 있다. 색의 기호(嗜好)로 성격을 분석하기도 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색깔이 있다고 한다. 타인과 구별되는 고유한 본성을 이른 말 일 것이다. 색중에는 스스로 드러나 보이는 색이 있고 함께 있음으로 주위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색도 있다. 존재만으로 조화를 만들고 평온함을 주는 색도 있다. 숫타니파타에는 아름다운 싯구가 나온다. `세상 빛에 물들지 않는`다는 귀절이다. 세상속의 우리가 세상에 물들지 않는 방법은 무엇일까. 세상을 향해 길어 올리는 물빛이 더러워도 우리가 피워내는 꽃에는 탁함이 없다. 세상 빛에 물들지 않는 본래의 색이있기 때문이다. 나의 색을 갖되 나만의 색에 머물지 않기 때문이다.

푸른 가을날이다. 미당(未堂)은 초록이 지쳐 단풍이 든다고 했다. 내연산 보경사에도 지친 초록이 단풍으로 올 것이다. 눈 부신 쪽빛과 맞닿는 붉은 단풍, 깊은 가을이 기다려진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