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꼭 사랑하고 싶은데

사랑하고 싶은데 너는

내 곁에 없다.

사랑은 동아줄을 타고 너를 찾아

하늘로 간다.

하늘 위에는 가도 가도 하늘이 있고

억만 개의 별이 있고

너는 없다. 네 그림자도 없고

발자국도 없다.

이제야 알겠구나

그것이 사랑인 것을,

- 김춘수 시집 `쉰한 편의 悲歌`(현대문학·2002)

대여(大餘) 김춘수 시인. 그가 우리들 곁을 떠난 지가 벌써 5년이 다 되어 간다. 김춘수 시인이 떠난 후 대여(大餘)라는 말의 뜻처럼 한국 시단에는 큰 여백이 생겨난 것만 같다. 사물(事物)의 본질 인식을 위해 자신의 언어를 가파른 벼랑으로 끝없이 몰고 갔던 `꽃`의 시인 김춘수. 우리 시사(詩史)는 그를 모더니즘 시인이라 부른다. 그런 그가 모더니즘 혹은 `무의미의 시`라는 긴 길을 에돌아 우리 삶의 직접성에다 자신의 언어를 부려놓고 있다. 그것은 쉰다섯 해를 시인과 삶을 함께 했던 아내의 죽음(1999년) 때문이었다. 부인과 사별(死別) 후 시인은 2년 만에 새 시집 `거울 속의 천사`(민음사·2001)를 펴냈다. 평소 그의 시작(詩作)에 비하면 놀라울 창작열이었다. 지금 여기에 없는 아내(=천사)를 찾아가는 시인의 간절함과 그 천사가 자기 옆자리로 찾아드는 미세한 기미를 애절하게 붙든 언어의 흔적이 시집의 내용물이다. 89편을 2년 만에 펴낸 것은 여든의 나이에 접어든 시인의 대단한 시적 열정과 아내 사랑이 아닐 수 없다. 죽은 아내를 만나는 작은 기미를 시인은 `an event`라고 명명했다. 사건이라는 이 `an event`라는 제목의 시는 유고 시집 `달개비꽃`(현대문학·2004)에도 똑 같은 제목으로 새롭게 그려졌다. 시집 `거울 속의 천사`이후 또 1년 만에 발간한 시집이 `쉰한 편의 悲歌`(현대문학·2002)였다. 인생 말년에 릴케가 `두이노의 비가`를 남겼다면 김춘수는 `쉰 한 편의 悲歌`를 세상에 내놓았다. 대여 김춘수 시인 말년의 시편들은 전부 그의 아내가 쓰게 한 것은 아닐까. 우리 곁을 떠나간 시인은 천상에서 그렇게도 그리워하던 아내를 만났을까?

해설<이종암·시인>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