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산업에서 10억원의 생산이 있을 때 수반되는 취업자 수가 7년 새 4명이 줄어드는 등 한국 경제의 고용능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출 10억원당 취업자는 같은 기간에 15명에서 9명으로 급감했다.

한국은행은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 고용구조 및 노동연관효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체 산업의 고용능력 떨어져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중 전산업의 취업계수는 8.2명으로 전년의 8.4명에 비해 낮아졌다. 취업계수는 2000년 10.9명에서 2005년 8.7명으로 줄었고 2006년에는 8명대로 떨어졌다.

취업계수는 산출액 10억원당 취업자수로, 생산성이 올라가면 내려간다. 따라서 수치가 낮다고 해서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취업유발계수는 2007년에 13.9명으로 2000년 18.1명, 2005년 14.7명, 2006년 14.3명에 이어 계속 줄어들고 있다.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어치를 생산할 경우, 해당산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수를 말한다.

수출 10억원당 취업유발인원은 9.4명으로 2000년 15.3명, 2005년 10.8명, 2006년 9.9명에 이어 빠르게 줄었다. 소비는 2000년의 21.4명에서 2007년에는 17.1명으로 감소했고 투자는 15.0명에서 13.1명으로 줄었다.

대졸이상 학력자의 비중 35%2007년 총 취업자의 고용형태를 보면, 상용직의 비중은 53.5%로 2000년의 51.1%에 비해 올라갔고 임시·일용직은 13.4%에서 17.9%로 상승했다. 반면, 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의 비중은 35.5%에서 28.7%로 떨어졌다.

산업별 취업구조는 서비스업이 63.5%로 2000년의 59.8%에 비해 올라갔고 건설업은 7.5%에서 9.0%로 상승했다. 그러나 제조업은 18.7%에서 17.7%로 떨어졌고 전력·가스·수도업은 0.4%로 변화가 없다.

직업별로는 전문직이 36.4%로, 2000년의 31.3%보다 올라간데 비해 일반직은 69.0%에서 63.6%로 내려왔다.

대졸학력 이상의 비중은 35.0%로 7년전의 25.1%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 고졸 이하는 74.9%에서 65.0%로 떨어졌다. 대졸 이상 학력자가 많은 분야는 교육·보건(74.8%), 전력·가스·수도(62.8%), 금융·보험(59.3%) 등이다. 제조업(31.7%)과 건설업(25.8%)에서는 대졸이상 학력자가 많지 않았다. 여성 취업자의 비중은 41.5%로 7년전과 같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