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정치
    • 전체
    • 일반
    • 국회ㆍ정당
    • 외교ㆍ안보
    • 선거
    • 북한
  • 경제
    • 전체
    • 일반
    • 산업
    • 금융
    • 건설
    • 유통 · 재래시장
    • 농수산업
  • 사회
    • 전체
    • 일반
    • 법원/검찰/경찰
    • 사건사고
    • 시민ㆍ사회단체
  • 지방자치
    • 전체
    • 일반
    • 지방의회
    • 지방선거
  • 국제
    • 전체
    • 일반
  • 교육
    • 전체
    • 일반
    • 대학가
    • 대입
  • 문화
    • 전체
    • 일반
    • 공연ㆍ전시
    • 신간안내
    • 여성
    • 종교
    • 문화재
  • 스포츠
    • 전체
    • 일반
    • 육상
    • 구기종목
    • 투기종목
    • 수상스포츠
    • 겨울스포츠
    • 기타스포츠
    • 레포츠
  • 방송ㆍ연예
    • 전체
    • 일반
  • 기획ㆍ특집
  • 사람들
    • 전체
    • 일반
    • 동정
    • 새얼굴
    • 부고
    • 사고(社告)
  • 포항
    • 전체
    • 일반
    • 교육
    • 문화
    • 법원/검찰/경찰
    • 산업
    • 선거
    • 의회
  • 대구
    • 전체
    • 일반
    • 교육
    • 문화
    • 법원/검찰/경찰
    • 산업
    • 선거
    • 의회
  • 동부권
    • 전체
    • 경주
    • 영덕
    • 울릉
    • 울진
  • 중서부권
    • 전체
    • 구미
    • 김천
    • 상주
    • 칠곡
  • 남부권
    • 전체
    • 영천
    • 경산
    • 고령
    • 성주
    • 달성
    • 청도
    • 군위
    • 의성
  • 북부권
    • 전체
    • 안동
    • 영주
    • 예천
    • 봉화
    • 문경
    • 청송
    • 영양
  • 오피니언
    • 전체
    • 사설
    • 칼럼
  • 라이프
    • 전체
    • 시
    • 알림마당
    • 건강
    • 홈닥터
    • 상담
    • 웰빙
    • 만평
  • 포토
    • 전체
    • 포토뉴스
  • 영상뉴스
2021년 01월 16일 (토)
  • 구독신청
  • 기사제보
  • 로그인
  • 회원가입
경북매일
  • 정치
    • 일반
    • 국회ㆍ정당
    • 외교ㆍ안보
    • 선거
    • 북한
  • 사회
    • 일반
    • 법원/검찰/경찰
    • 사건사고
    • 시민ㆍ사회단체
  • 경제
    • 일반
    • 산업
    • 금융
    • 건설
    • 유통 · 재래시장
    • 농수산업
  • 지역뉴스
  • 지방자치
    • 일반
    • 지방의회
    • 지방선거
  • 문화
    • 일반
    • 공연ㆍ전시
    • 신간안내
    • 종교
    • 문화재
  • 교육
    • 일반
    • 대학가
    • 대입
  • 사람들
    • 일반
    • 동정
    • 새얼굴
    • 부고
  •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라이프
    • 건강
    • 시
    • 알림마당
  • 기획특집
  • 포토
  • 정치
    • 일반
    • 국회ㆍ정당
    • 외교ㆍ안보
    • 선거
    • 북한
  • 사회
    • 일반
    • 법원/검찰/경찰
    • 사건사고
    • 시민ㆍ사회단체
  • 경제
    • 일반
    • 산업
    • 금융
    • 건설
    • 유통 · 재래시장
    • 농수산업
  • 지역뉴스
  • 지방자치
    • 일반
    • 지방의회
    • 지방선거
  • 문화
    • 일반
    • 공연ㆍ전시
    • 신간안내
    • 종교
    • 문화재
  • 교육
    • 일반
    • 대학가
    • 대입
  • 사람들
    • 일반
    • 동정
    • 새얼굴
    • 부고
  •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라이프
    • 건강
    • 시
    • 알림마당
  • 기획특집
  • 포토
  • 방송·연예
  • 스포츠
  • 영상뉴스
기사 (29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 지역뉴스
  • 포항
  • 대구
  • 경주
  • 영덕
  • 울릉
  • 울진
  • 구미
  • 김천
  • 상주
  • 칠곡
  • 영천
  • 경산
  • 고령
  • 성주
  • 달성
  • 청도
  • 군위
  • 의성
  • 안동
  • 영주
  • 예천
  • 봉화
  • 문경
  • 청송
  • 영양
반(反) 유토피아 소설과 아베 신조
반(反) 유토피아 소설과 아베 신조

지난 20세기는 격동의 세기다. 전기와 석유, 내연기관과 플라스틱, 컨베이어벨트 시스템 등으로 대표되는 2차 산업혁명이 풍요로운 물질문명을 가능케 한다.그와 아울러 러시아와 중국의 사회주의 혁명, 1∼2차 세계대전, 한국동란과 베트남전쟁, 사회주의의 퇴조와 소련 및 동구 실존 사회국가들의 몰락 같은 사회·정치적인 격랑(激浪)이 지구촌을 강타한다.미증유의 역사적 사변을 목도한 대중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다.그래서일까. 지난 세기 초중반에 세계적인 반 유토피아 소설이 등장한다.첫 번째는 사회주의 소련의 작가 예브게니 자먀틴이 집필한 ‘

칼럼 | | 2019-01-09 19:58
두 발로 꼿꼿하게
두 발로 꼿꼿하게

동면(冬眠)에 들어간 반달곰은 무술년이 기해년으로 바뀐 것을 알고 있을까.어제 떠오른 태양과 내일 떠오를 태양은 하나임에도 새해 일출 여행객은 줄어들 기색이 없다. 무엇이 저들로 하여금 무리지어 동해안으로 출정하게 하는가?! 오며가는 누추하고 피로한 여정의 수고로움을 마다하지 않도록 하는 흥분제 성분은 무엇인가. 미련일까, 회한(悔恨)인가 그도 아니면 신년에 거는 다대한 꿈과 기대일까.구랍 31일 동료교수의 반가운 전화를 받는다. 무겁지 않은 덕담과 회고 끝자락에 그의 모친이 요양병원에 입원하셨다는 얘기를 듣는다. 여든한 살 연세에

칼럼 | | 2019-01-02 19:59
환갑(還甲)과 환갑(換甲) 사이
환갑(還甲)과 환갑(換甲) 사이

여덟 살 때 외할머니 환갑잔치가 있었다. 열흘 넘도록 음식준비로 집안이 시끌벅적했고, 어른들 표정은 하나같이 밝았다. 어린 우리들은 구수한 냄새 넘쳐나는 부엌을 날랜 다람쥐처럼 넘나들며 이것저것 입에 넣기에 신이 났다. 우리가 알았던 정보는 ‘환갑’이란 어휘뿐이었다. 그것에 담긴 의미 반추는커녕 기본적인 뜻풀이조차 알지 못했던 천둥벌거숭이였던 시절.추운 겨울날이었지만 그때의 활기와 왁자지껄한 분위기와 흥분이 기억에 새롭다.마침내 그날이 왔다. 은비녀로 곱게 쪽머리하신 할머니가 토끼조끼와 한복치마로 한껏 멋을 내고는 병풍 앞에 놓인

칼럼 | | 2018-12-26 19:30
시(詩)와 국어 ‘불수능’
시(詩)와 국어 ‘불수능’

올해 대학 수학능력시험은 상당히 어려웠다고 한다. 특히 국어 31번 문제는 천문학, 역사학, 철학, 과학이 뒤얽힌 기나긴 지문(地文)을 이해한 극소수의 학생만이 풀 수 있었다고 전한다.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과 예술 관련서적을 두루 통독(通讀)해온 사람으로서 문제의 어려움을 통감한다. 거기 덧붙여 한 가지 의문이 문득 고개를 든다. ‘무슨 까닭으로 이토록 난해한 문제를 냈을까?’ 누구를 위한, 무엇을 겨냥한 문제인가, 하는 물음!1913년 3월 러시아의 스물네 살 여류시인 안나 아흐마토바는 ‘저녁에’라는 단출한 서정시를 창작한

칼럼 | | 2018-12-20 19:47
인권과 혁명
인권과 혁명

1948년 12월 10일 국제연합 인권위원회는 ‘세계인권선언’을 발표한다. 제2차 대전이 끝나고 자유롭고 평화로운 지구촌을 건설하기 위한 인간의 기본권을 명시한 선언이다. 영장없는 체포와 구금, 추방으로부터 자유, 사상과 양심 및 종교의 자유,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結社)의 자유 등이 인간의 기본적인 정치적 권리로 거명된다. ‘인권선언문’ 제1조는 간명하되 대단히 인상적이며 선진적이다.“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성과 권리에서 평등하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기에 서로에게 형제자매의 정신으로 행해야 한다.”어디선가 본 것같은 기시감이 들지 않는가?! 그렇다. 프랑스 삼색기(三色旗)의 영혼과 정신이 인권선언문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자유, 평등, 형제애.’ 자유는 본

칼럼 | | 2018-12-12 20:40
행복도와 계영배
행복도와 계영배

엊그제 달력을 넘기다보니 허전하고 쓸쓸하다. 마지막장 달력에 새겨진 ‘12’가 크게 다가온다.‘어이쿠, 또 한 해가 가는구먼!’ 해마다 연말이면 예외없이 터져나오는 탄성(歎聲)이다. 그렇게 다시 세월이 가고 스스럼없이 나이의 문턱을 넘는다. 구렁이가 담 넘어가는 것을 본 일은 없지만, 시간에 편승해 퍼런 녹이 슬고, 퀴퀴한 냄새가 나는 백두(白頭)의 계급장을 단 것은 꽤나 오래 전 일이다. 차마 부끄러운 일이다.각설하고, 엊그제 한국인의 ‘행복도’ 조사결과가 언론에 발표됐다. 2018년에 유엔에서 내놓은‘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수는 5.87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32위라 한다. 더욱이 2012~2015년 세계인의 행복도 조사에서 한국은 조사대상 1

칼럼 | | 2018-12-05 20:38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를 보내며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를 보내며

나이 들면서 세상과 작별하는 사람의 면면이 눈에 밟히는 경우가 늘어난다. 젊은 시절에는 죽음이 나와는 무관한, 먼 곳에 있는 매우 추상적인 대상으로만 보였다. 그러다가 문득 가까운 사람의 부음이 홀연히 찾아들면 흠칫 놀라게 된다. 그런 놀라움의 순간이 어느새 일상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나이에 이른 것이다. 세월과 시간은 세상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그 점에서 우리는 단 하나의 평등권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베르나르도 베루톨루치가 세상을 버렸다. 1941년에 출생했으니 우리 나이로 78세. 아버지의 친구이자 ‘맘마 로마’를 연출한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의 조감독으로 영화인생을 시작한 그는 1962년 ‘냉혹한 학살자’로 영화감독이 된다. 베르톨루치가 남긴

칼럼 | | 2018-11-28 20:49
공감과 분노
공감과 분노

문학을 공부하고 가르치면서 중하게 여기는 덕목은 공감이다. 공감은 등장인물들이 처하는 대립과 갈등, 절체절명의 위기와 전락, 위대한 승리와 치명적 패배를 목도하면서 그들과 동질감을 느끼는 행위다. “너의 마음이 나의 마음과 같다!”는 것에서 공감은 시작한다. 그것이 슬픔이든 분노든, 한탄이든 자조(自嘲)든, 증오든 사랑이든 문학의 주인공과 독자가 공유하는 감정과 인식의 교류에서 공감은 생겨나고 확산한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강의실에서 공감이 자취를 감췄다. 소설이나 희곡, 시를 읽지 않는 세대가 주축이 되어버린 염량세태의 당연한 풍경이다. 대학입시를 위한 ‘축약본’ 독서를 끝으로 대다수 청춘은 문학과 영원히 작별한다. 줄거리와 주인공, 작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최소한의 독서 아닌 독서가 청춘의 영

칼럼 | | 2018-11-21 20:43
제1차 세계대전 종전 100주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 100주년!

얼마 전 텔레비전 인문학 대담 프로그램에서 2018년 이전의 200년 동안 발생한 주요 사건을 ‘08년’ 끝자리로 살펴보니 흥미로운 일이 많았다. 우선 1818년 5월 5일 카를 마르크스가 탄생한다. 1867년 출간된 ‘자본’으로 150년 넘도록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마르크스. 영국의 메리 셸리는 1818년에 장편소설 ‘프랑켄슈타인’을 출간한다. ‘현대의 프로메테우스’라는 부제(副題)를 가진 소설에서 그녀는 인간이 생명의 창조주가 될 수 있는지 묻는다.100년 전으로 소급하면 1918년에 천만 넘는 전사자를 야기한 제1차 세계대전이 종결된다.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1948년은 대한민국 정부수립 원년이다. 1968년은 유럽과 미국 그리고 일본열도를 휩쓴 ‘68혁명’ 발발연도다. 1988년에 서울올

칼럼 | | 2018-11-14 20:57
대국굴기의 모순과 민낯
대국굴기의 모순과 민낯

지난 11월 초하루 중국 강소성 남경대학교에서 낯선 장면이 포착된다. 100여 명의 대학생들 앞에서 연설하던 몇몇 학생이 사복차림의 건장한 사내들에게 속절없이 제압당한 것이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봉변을 당한 학생들은 ‘마르크스주의 열독(閱讀) 연구회’ 소속으로 마르크스의 저작을 읽고 토론해 왔다고 한다. 사회주의 종주국을 자처하면서 강성대국의 길을 걷고 있다는 중국에서 이 무슨 해괴한 일인가?“우리는 마르크스주의를 선전하고 싶을 뿐이고, 습근평 주석의 부름에 호응했을 뿐이다. 학교는 왜 우리를 이렇게 대하는가!”이것이 제압당한 학생의 연설일부다. 남경대학 당국은 5년 전 창립돼 철학과 부속 모임으로 활동해온 연구회의 등록갱신을 거부함으로써 연구회를 ‘미등록단체’로 만들어버린다. 그러자 연구회

칼럼 | | 2018-11-08 20:36
유치원 사태를 보면서
유치원 사태를 보면서

1988년 서울 올림픽이 열린다고 우리나라가 북새통을 떠는 시각, 쾰른에서 어학과정을 공부하던 때 겪은 일이다. 조용한 거리에 유모차 부대가 출현한다. 아이들 엄마와 아버지, 그리고 유치원 교사들이 경찰이 쳐놓은 줄을 따라 거리행진을 하는 것이다. 호기심 많은 내가 그냥 지나칠 리 없다. 시위하는 까닭을 듣고 고개가 끄덕여진다. 유치원 교사봉급이 너무 작아서 봉급인상 시위를 하고 있다는 답이 돌아온 때문이다. 당시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Nordrhein-Westfalen) 주의 지배정당은 진보성향의 사회민주당이었고, 당연히 그들은 유치원을 포함한 교사와 교수의 봉급인상에 인색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주 재정이 녹록치 않아서 교사들의 요구에 응할 형편이 아니었다. 이에 유치원 교사들은 물론이고 유

칼럼 | | 2018-10-31 21:06
사람을 죽인다는 것
사람을 죽인다는 것

생명 가진 것을 죽이는 일은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기르던 화초나 수목 하나 죽어도 가슴이 서늘한 법이므로. 하물며 움직이는 생명체의 목숨을 앗아가는 행위는 대단한 결단이나 용기를 필요로 한다. 얼마 전에 어깨 위로 무엇인가 움직이는 것이 있어서 필시 ‘모기려니’ 하고 잡아 죽였다. 아뿔싸?! 그것은 모기가 아니라, 작은 거미였다. 성마른 판단과 행위로 거미의 생목숨을 빼앗았으니 마음이 편할 리 없다.사람마다 꺼려하는 생명이 있다. 나는 쥐와 뱀이 불편하다. 파리와 모기, 바퀴벌레와 돈벌레(그리마), 지렁이와 노린재도 반갑지 않다. 하지만 지렁이나 그리마 혹은 거미 등속은 웬만해서 죽이는 법이 없다. 축축하고 규모가 큰 지렁이는 삽이나 호미로 녀석의 본향(本鄕)인 흙이나 풀 속으로 던져준다. 모기

칼럼 | | 2018-10-25 20:21
초인과 초지능
초인과 초지능

2016년 3월에 서울에서 열린 이세돌과 인공지능 알파고의 대결은 흥미로웠다. 인간계 최고수로 선발된 이세돌이 1승 4패로 밀렸다. 1, 2, 3, 5국을 알파고가 가져갔고, 이세돌은 4국을 건지는데 만족해야 했다. 4국 역시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이세돌이 던진 끼움수에 알파고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이 인공지능의 유일한 패착이었다. 2017년 5월에 알파고는 세계최강 커제 9단과 대결해 3전 전승을 거둔다. 열혈청년 커제는 바둑을 두다가 분을 삭이지 못한 나머지 얼굴이 붉게 상기되고 눈시울에 눈물을 글썽이기도 했다. 알파고는 불과 1년만에 바둑 분야에서 인간을 완전히 따돌리는 절정고수로 등극한다. 알파고는 은퇴하여 신계(神界)로 들어갔다고 한다.종횡으로 19줄 361개의 교차점에 돌을 놓아야

칼럼 | | 2018-10-18 20:32
하토야마 유키오
하토야마 유키오

지난 10월 2일에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총리가 부산대에서 명예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산대가 밝힌 명예박사 수여의 변은 이러하다. “하토야마 전 총리는 한국에 대한 인식이 깊고 식민지 역사문제에 대해서도 일본이 과거를 미화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보여 온 정치 지도자다. 향후 동아시아 번영과 한일 양국의 관계발전에 힘이 돼 줄 것으로 기대한다.” 전통적으로 정치적인 가문의 일원인 그는 2009년 8월 30일 일본 총선에서 민주당의 승리를 진두지휘한다. 자민당이 60년 넘도록 독점해온 권력의 지형도를 일거에 바꾼 인물이 하토야마 유키오다. 한국에서 1998년 정권교체가 일어난 지 11년만에 일본에서도 정권이 바뀐 것이다. 이렇게 보면 ‘다이나믹 코레아!’가 선진적인 면도 있다. 2차대전 이후

칼럼 | | 2018-10-11 20:29
교복과 두발 자유화
교복과 두발 자유화

얼마 전 서울교육청에서 두발 자유화와 편안한 교복 방안을 발표했다. 머리털 길이는 물론이려니와 파마와 염색도 허용하겠다는 것이 두발 자유화의 골자다. 아울러 학생들의 불평과 원성의 대상인 교복도 자라나는 학생들의 신체에 적절하고 편안하도록 만들어 보겠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다. 이것을 두고 사람들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에는 수많은 전문가가 있지만, 그 가운데서도 교육과 의료, 아파트 세 영역에는 헤아릴 수 없는 강호제현들이 가공(可恐)할 신공을 펼치며 군웅할거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강호제현이 관여하려는 분야가 점입가경 확대일로를 걷는다는 점이다. 청년실업, 노인복지, 낙태문제, 남녀혐오, 신도시와 그린벨트 해제, 국민청원을 둘러싼 찬반양론 등등. 이렇게 대단한 나라의 공복(公僕)으로 ‘

칼럼 | | 2018-10-04 20:29
‘툴계녭의 언덕’, 읽으셨나요
‘툴계녭의 언덕’, 읽으셨나요

메리 셸리(1797∼1851)가 ‘프랑켄슈타인’을 출간한 1818년 러시아에는 잊히지 않을 인물이 태어난다. 산문시와 소설, 희곡 모두에서 천품을 발휘한 이반 투르게네프(1818∼1883)가 주인공이다. 그는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와 더불어 19세기 러시아 황금시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다. 심훈의 ‘상록수’를 읽다 보면 기시감을 느끼게 되는데, 그것은 투르게네프의 ‘처녀지’ 때문이다.일본의 근대를 이식받은 식민지 조선 문인들이 열광했던 작가 가운데 하나가 투르게네프라는 사실은 주지하는 바다. 일본 지식인과 문인들 역시 투르게네프의 문학적 성과에 매료되었다고 전한다. 그런 배경에는 ‘뜬구름’의 작가이자 러시아문학 번역가였던 후타바테이 시메이(1864∼1909) 같은 인물의 열성적인 노력이 자리한다.

칼럼 | | 2018-09-27 20:47
2018년 추석을 맞으며
2018년 추석을 맞으며

다시 팔월 한가위 추석이다. 많은 사람들이 고향이나 친지를 찾아 나라 곳곳으로 이동하는 진풍경을 되풀이하는 시절. 들판의 벼가 고개 숙인 채 누렇게 익어가고 있지만 본격적인 수확기는 아직 오지 않았다. 지난 여름 우심한 폭염의 무더위와 솔릭 태풍과 때 아닌 폭우(暴雨)로 농부들의 심사는 편치 않다. 그럼에도 우리는 추석명절을 기다려왔다. 그것은 분명 예정된 만남과 그것이 선사하는 즐거움과 흔쾌함 때문일 것이다.추석을 목전에 둔 시점에 남과 북의 최고 정치 지도자들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해 다시 머리를 맞댔다. 4월 27일, 5월 26일에 이어 9월 18일 세 번째 정상회담을 가진 것이다. 이제는 고인(故人)이 된 김대중-노무현 두 분 집권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한 차례씩 정상회담을 했지만 이

칼럼 | | 2018-09-20 19:31
걸신들린 자들
걸신들린 자들

‘걸신(乞神)’은 “몹시 굶주려 음식을 지나치게 탐하는 상태나 그런 사람”을 일컫는다. 단언컨대 2018년 9월 한국사회의 정치-경제-종교-언론 부자들은 걸신들린 자들이다. 천정부지로 오르는 아파트값을 더 올리려 눈 빨간 투기세력은 돈에 걸신들려 있다. 조물주 위에 군림하면서 임대인을 행주처럼 쥐어짜는 건물주들도 걸신들린 자들이다. 분단 70년 남북관계에 새 역사를 쓰려는 정부의 발목을 악랄하게 잡아채는 정치인들은 권력에 걸신들린 자들이다. 북한의 세습은 목청껏 욕하면서 교회권력 세습하는 종교인 무리는 돈과 권력에 걸신들린 노예다. 자영업자들의 경영난이 오로지 최저임금 인상이라 호도하는 언론재벌과 기자들은 매판자본과 지식에 걸신들린 영혼 없는 자들이다. 사법권을 정치권력에 팔아넘긴 법원과 판사

칼럼 | | 2018-09-13 20:22
휴대전화와 학교교육
휴대전화와 학교교육

얼마 전에 생선횟집에 들른 적이 있다. 40, 50대 중년배 서넛이 소주잔을 기울이는 저녁나절 번다한 시장통 횟집풍경은 평안하고 따사로웠다. 생선 비린내가 코를 간질이는 횟집에서 이색적인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서너 살 남짓한 어린애가 휴대전화 동영상을 들여다보고 있다. 일손 부족한 가난한 부부가 횟집을 운영하면서 아이에게 동영상을 틀어준 거였다. 아이는 장난감 만지듯 익숙한 손놀림으로 휴대전화를 놀리고 있다.‘햐, 이것 참 고약하군!’ 소리 내지는 않았지만 뭔가 아픈 소리가 내장을 거쳐 목구멍까지 올라오는 것이다. “재미있니?!” 하고 물어본다. 고개 끄덕이는 아이를 보고 엄마가 조금 안쓰러운 표정이다. 저 나이에 벌써 휴대전화 동영상이라니! 앉거나 누운 채 소리와 영상에 홀린 것처럼 동영상에 몰두

칼럼 | | 2018-09-06 20:25
소득주도 성장정책
소득주도 성장정책

택시를 타다보면 민심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다. 지난 4월과 5월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고, 6월에 북미정상회담까지 성사되었을 때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은 고공행진을 거듭했다. 그러나 시간과 더불어 남북문제가 뒷전으로 밀리고, 한국경제가 세간의 관심사로 대두하자 상황이 급변한다. 조중동을 비롯한 보수언론과 야당들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을 교체하라고 이구동성으로 아우성친다. 나의 택시기사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그게 능사일까?!지난 8월 26일 장 실장은 기자간담회를 열어 소득주도 성장정책의 필연성과 당위성을 주장했다. 한국경제는 소비가 성장을 견인하지 못하는 구조인데, 그 까닭은 경제성장이 소득증대로 이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경제성장의 과실(果實)을 국민 개개인이 아니라, 재벌이 대표하는 기업

칼럼 | | 2018-08-29 20:47


  • 처음처음
  • 이전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다음다음
  • 다음
  • 끝끝
박 전 대통령 징역 20년 확정
박 전 대통령 징역 20년 확정
흥해 대성아파트 철거 완료
흥해 대성아파트 철거 완료
당신을 응원합니다
당신을 응원합니다
포근한 휴식
포근한 휴식
미세먼지 뒤덮힌 뿌연 포항
미세먼지 뒤덮힌 뿌연 포항
활기 찾은 서문시장
활기 찾은 서문시장
망중한 즐기는 재두루미와 오리
망중한 즐기는 재두루미와 오리
경주 축산농가에 불
경주 축산농가에 불
설국으로 가는 길
설국으로 가는 길
얼음왕국 된 ‘청송 얼음골’
얼음왕국 된 ‘청송 얼음골’
오피니언
  • 사설
    고용절벽 최악… ‘반기업 정서’부터 바꿔야
  • 사설
    대구경북 민원서비스 최하위 기관 각성해야
  • 유튜브 ‘쓸데없다’ 방민호의 살며 생각하며
    유튜브 ‘쓸데없다’
  • 세한도(歲寒圖) 아침산책
    세한도(歲寒圖)
  • 코로나 백신과 확률 게임 서의호칼럼
    코로나 백신과 확률 게임
  • 오지 않는 철수 김진호의 是是非非
    오지 않는 철수
많이 본 뉴스
오늘
종합
정치
사회
경제
지역
자치
문화
교육
  • 1
    경주 등 경북 3곳에서 밤새 산불 잇따라
  • 2
    '사회적 거리두기'와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 2주 더 연장
  • 3
    울릉도·독도에 대설주의보 발효
  • 4
    경북 서부 12개 시·군 미세먼지주의보 16일 오후 1시 해제
  • 5
    포항 한 대학교 직원 확진 판정
  • 1
    울릉도 항로 1만t급 여객선 취항 가시화…국내 굴지의 해운사 공모참여 결정
  • 2
    포항해수청 울릉도 공모 여객선 윤곽…8천t급 이상 카페리 길이 150m
  • 3
    울릉도에서 근무한 해경 2명 육지 귀가 후 양성 반응
  • 4
    미안하고 화난다… ‘정인이 사건’으로 포항에 쏠린 분노의 시선
  • 5
    대구, 조정대상지역 지정 약발 없었다
  • 6
    “지금 전국은 전유진 홀릭 음색·가창력 모두 완벽!!”
  • 7
    동지 팥죽
  • 1
    “김병욱, 인턴 비서 성폭행 의혹”
  • 2
    대구∼부산 고속도로 통행료 ‘반값으로’
  • 3
    오늘부터 모든 실내체육시설 영업 가능
  • 4
    “문재인 정부 부동산정책은 탁상행정·규제 지옥”
  • 5
    김영만 법정구속… 지역 선출직 비리 몸살
  • 6
    안철수·홍준표, 팔공산 동화사에서 만났다
  • 7
    국민의힘 “변창흠 임명 강행 시 사법 절차로 갈 것”
  • 1
    미안하고 화난다… ‘정인이 사건’으로 포항에 쏠린 분노의 시선
  • 2
    구룡포의 신음 언제 멎나
  • 3
    포항 목욕탕(용흥우방스포츠센터) 확진 불씨… 접촉자 확인 비상
  • 4
    밤 9시 일상 멈춘다… 포항·경주 5일간 ‘셧다운’
  • 5
    구룡포가 ‘발칵’… 점점 커져 가는 ‘해맞이 공포’
  • 6
    자영업자 ‘눈물의 폐업’ 중고거래 헐값 판매 성행
  • 7
    코로나도 잡는 만능 구충제? 약국마다 동났다
  • 1
    대구, 조정대상지역 지정 약발 없었다
  • 2
    포스코, 최정우 2기 임원인사…혁신·성장 본격 추진
  • 3
    서대구역화성파크드림 전가구 1순위 청약 마감
  • 4
    대구·경북지역 올해 아파트분양 물량 전망 제각각
  • 5
    정년퇴직 철강맨 “포스코·포항은 내 삶의 자부심”
  • 6
    대구 엑스코선 예타 통과 후 인근 부동산값 상승세
  • 7
    포스코청암재단, 의료진 7명 ‘포스코히어로즈’선정
  • 1
    울릉도 항로 1만t급 여객선 취항 가시화…국내 굴지의 해운사 공모참여 결정
  • 2
    포항해수청 울릉도 공모 여객선 윤곽…8천t급 이상 카페리 길이 150m
  • 3
    울릉도에서 근무한 해경 2명 육지 귀가 후 양성 반응
  • 4
    울릉도 여객선 ‘씨플라워’ 우수선박…울릉도 여객선 중 유일하게 선정
  • 5
    울릉도주민 여객선 승선할 때 불편…이고·지고·끌고·들고 승선권·주민등록 검사
  • 6
    울릉도 역시 코로나19 청정지역 울릉도 못 뚫는다… 확진자 접촉자 전원 음성
  • 7
    울릉고 공무원 임용후보자 전원 합격…지방공무원 임용후보자 장학생
  • 1
    이철우 지사 자가격리… 경북도 괜찮나
  • 2
    “칩거해 주십시오” 이 절박한 호소
  • 3
    대구도시철도 엑스코선 드디어 ‘본궤도’… 동·북부 교통난 해소 획기적 기회
  • 4
    올 성탄절·연말연시 ‘고~요한 밤, 거~리둔 밤’
  • 5
    안동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준공식
  • 6
    대구·경북 행정통합 “긍정·우려” 공존
  • 7
    “대구~성주~무주 동서3축 고속도 조기 건설 촉구”
  • 1
    포항 440여 교회 성탄축하 예배 드려
  • 2
    동리목월문예창작대학, 신춘문예 등단 산실로
  • 3
    경직된 시대, 이해인 수녀가 전하는 행복의 메시지
  • 4
    ‘포항촉발지진 국민감사청구서’ 특별호 발간
  • 5
    “경계의 시간을 산책하면서 가깝고 소중한 것들 되새기는 작업”
  • 6
    포항극동방송, 22일 성탄특집 온라인 특별방송
  • 7
    “제빵은 과학… 배움 20년째 현재진행형”
  • 1
    코로나19 직격탄에 갑작스런 ‘비대면 수업’
  • 2
    예비 고3, 겨울방학 동안 꼼꼼한 학습법 유지하라
  • 3
    로스쿨 ‘변호사시험 합격률’ 전국 1위 기염
  • 4
    “경찰의 꿈, 계명문화대서 이루세요”
  • 5
    코로나19로 원격수업 전면 확대… 학습 격차 경험
  • 6
    지방 거점 국립대 정시 경쟁률 사실상 ‘미달’수준
  • 7
    시간 맞춰 자고, 책 읽고, 명상하고, 스트레칭 하라
방송 · 연예
  • ‘펜트하우스’, 2021년 첫 2억 뷰 드라마
    ‘펜트하우스’, 2021년 첫 2억 뷰 드라마
  • 걸그룹 (여자)아이들 신곡 ‘화’ 국내 주요 음원 차트 1위 석권
  • 저소득 여자 청소년에 5천만원 기부
문화
  • 하루에 한꼭지씩 글 읽고… 일상을 돌아보자
    하루에 한꼭지씩 글 읽고… 일상을 돌아보자

    ‘읽는 일기’(지노출판)는 자아 성찰을 위해 일기를 쓰는 대신 여러 현인들이 남긴 글을 하루에 한 꼭지씩 읽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 스스로 자신의 일상을 되돌아보고 인생을 생각해볼...

  • 평화를 꿈꾸지만, 현실은 전쟁의 연속
    평화를 꿈꾸지만, 현실은 전쟁의 연속

    지난 3천년간 인간은 평화를 꿈꿔왔지만, 전쟁은 언제나 인간의 삶을 파괴하며 아직도 우리 곁에 맴돌고 있다. 지금도 예멘과 우크라이나 등에서는 내전이 계속되고, 오래된 앙숙 파키스...

  • 대구오페라하우스 새해 첫 공연… “어디서든 함께하세요”
    대구오페라하우스 새해 첫 공연… “어디서든 함께하세요”

    대구오페라하우스가 오는 16일 오후 3시 ‘2021 신년음악회-D·opera with 강석우’를 무대에 올린다. 새해 첫 공연인 동시에 객석의 관객들과 함께하는 지역의 첫 대면 공...

스포츠
  • 신축년 맞은 스틸러스포항 출신 베테랑으로거센 ‘돌풍’ 이끈다
    신축년 맞은 스틸러스포항 출신 베테랑으로거센 ‘돌풍’ 이끈다
  • 18년 원클럽맨 김광석, 끝내 인천행…
  • ‘들소’ 신광훈, 친정팀 포항스틸러스로 컴백
경북매일

신   문   

신문사소개 사업제휴 광고문의 불편신고 편집규약 저작권문의 독자권익위

운   영   

기자윤리강령 광고윤리강령 재난보도준칙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수집거부 고충처리인제도
  • 제호 : 경북매일
  • 일간신문등록번호 : 가-96호
  • 등록일 : 1990-02-10
  • 발행·편집인 : 최윤채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철화 편집국장
  • 본사 주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앙로 289 경북매일신문
  • TEL : 054-289-5000
  • FAX : 054-249-2388
  • 경북도청본사 주소 : 경북 안동시 풍천면 수호로 69(4층)
  • TEL : 054-854-5100
  • FAX : 054-854-5107
  • 대구본부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51(굿빌딩 3층)
  • TEL : 053-951-6100
  • FAX : 053-951-6103
  • 중부본부 주소 : 경북 구미시 신시로 14길 50(3층)
  • TEL : 054-441-5100
  • FAX : 054-441-5101
  • 경북매일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1 경북매일.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kbmae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