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어느새 12월, 매듭달이다. 무던히 앞만 보고 달려온 듯한 올해도 이제 달력 한 장만 달랑 남겨두고 세모(歲暮)의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해마다 이맘 때가 되면 저마다 연초에 세웠던 계획이나 목표를 어느 정도 이뤘고, 이루기 위해 얼마만큼 노력했는지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보게 된다. 성취를 누린 안도감이나 미진함에서 오는 아쉬움 등으로 이래저래 희비가 교차하고 뒤숭숭하지만, 어쨌든 한 해를 매듭지어야 하기에 연말은 늘 착잡해지는지도 모른다. 이런 때일수록 차분한 마음으로 자신과 주변을 성찰하며, 막연한 회한에 빠져들기 보다는 아직 남은 날들에 새로운 기대와 희망을 걸어보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 듯싶다.

우거의 뒤뜰 감나무에도 까치밥으로 남겼었던 십여 개의 감 중 마지막 한 개가 ‘마지막 잎새’ 마냥 가지 끝에서 대롱거리고 있다. 감꽃 피는 5월을 지나 무성한 잎새의 여름날 속에서 파릇한 감들을 숨기듯 꿰어 차다가, 가을 초입에 들이닥친 태풍의 생채기로 절반가량을 떨궈내고, 정갈한 햇살 받아 용케도 정(情)처럼 익어 얽힌 주홍빛 감들이 스무 여개. 태풍과 천둥을 견디면서 떫고 힘겨운 시절을 이겨내듯 가을날의 환하고 반가운 결실로 보답하는 감나무의 수고(?)이다. 해마다 늘 그 자리에서 한결 같은 모습으로 몇 개의 감을 선사하기에 고맙고 넉넉하기만 하다.

감꽃과 홍시를 간식처럼 먹던 유년시절이 있었다. 필자의 고향집에서 50여미터 위쪽 언덕에 사셨던 조부모님 집 뒤로는 제법 큰 감나무가 10여 그루 있었는데, 봄이나 가을날이면 뒤란에 떨어진 감꽃과 홍시를 주워 먹으며 허기를 달래곤 했었다. 감꽃이 많이 떨어지면 빗자루로 일일이 쓸기까지 하면서, 할머니께선 밤새 소변을 받아낸 요강을 감나무 근처에 쏟으시며 나무뿌리를 튼튼히 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서리가 내리면서 감들이 익어갈 즈음이면 감 따기는 으레 내 몫이었다. 긴 대나무 끝에 V자 홈을 파고 잠자리채 같은 망(網)을 매단 ‘감조리개’로 땅에서 따거나 다람쥐처럼 감나무에 올라가 가지 사이사이를 날렵하게 옮겨가면서 그 많던 감들을 거의 다 따내곤 했었다. 손이 닿지 않으면 당연히 까치밥으로 남겼었는데, 감나무가 많아선지 대부분의 까치밥은 눈이 내릴 때까지 남아있기도 했었다.

효자동 집 주위에 심겨진 몇 그루의 감나무에 예전을 반추하는 감들이 꽃등처럼 열려서 회억에 잠기곤 한다. 올해는 해거리가 무색할 정도로 많은 감들이 열려‘새들을 위한 잔치(?)’를 벌이기로 했다. 찾아온 새들을 쫓지 않고 혹여 방해가 될까봐 창밖으로만 넌지시 감 쪼는 모습 보기를 은근히 즐기면서, 한 달가량 까치밥으로 10여개를 내주고 이제 마지막 1개만 남겨두고 있다. 도심의 새들은 갈수록 먹이 구하기가 힘든 걸까? 크고 작은 새들이 수시로 날아와 재잘거리며 감을 쪼아대는 풍경이 그림처럼 푸근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