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침수 피해 부추긴 ‘냉천 범람’ 원인으로 지목된 오어저수지
오천 주민들 “저수율 낮춰 달라 수차례 얘기해도 농어촌공사 묵살”
농어촌公 “태풍 피해 예방 목적으론 불가… 지침 이하로 대비” 반박
“항사댐 건설만 기다리지 말고 홍수조절기능 갖췄어야” 지적 일어

‘인재(人災)인가? 불가피한 재해(災害)인가?’

시간당 110㎜의 폭우를 뿌린 태풍 ‘힌남노’가 몰고 온 막대한 피해를 두고 여전히 논란이 뜨겁다. 충분한 대비를 했더라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는지, 혹은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한 불가항력의 자연재해였는지를 놓고서 각계에서 날 선 공방이 오가고 있다.

<관련기사 7면>

우선 포항에 막대한 피해를 불러온 태풍 힌남노의 침수 피해 원인으로 냉천의 범람이 지목되는 가운데, 냉천 상류에 위치한 오어지의 이수용 수문 개방 논쟁이 불거지고 있다.

주민들은 이수용 수문 개방을 수차례 요청했으며 이를 통해 저수율을 더 낮췄으면 지금과 같은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농어촌공사는 이수용 수문은 말 그대로 농지에 물을 대기 위해서만 개방하는 목적이라 홍수 대비용으로 여는 것은 고려조차 할 수 없다고 일축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하류 지척에 수만 여명의 인구가 살고 있고 포스코를 비롯한 포항철강공단 등 한국의 기간산업이 위치해 있음에도 오어지 자체가 홍수조절 기능이 없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책임 공방전이 가열되고 있다.

사업진행이 지지부진한 항사댐만 바라고 있지 말고, 오어지가 아무리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저수지라도 관계기관이 복합적으로 위험도에 대해 고민해 홍수조절기능은 마련했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18일 농어촌공사 포항울릉지사에 따르면 오어저수지의 일자별 저수율은 가뭄 등의 영향으로 9월 3일 27%밖에 되지 않았다. 이후 4일 41.9%, 5일 56%로 점점 상승했으며, 태풍이 내습한 6일에는 100%의 저수율을 기록했다. 태풍 내습 당시 몇 시간 만에 수위가 급격하게 차올랐으며, 저수지를 넘은 물은 물넘이와 방수문을 통해 대량으로 빠져나가면서 냉천 범람의 원인 중 하나가 됐다.

특히 오어저수지의 방수문은 저수율 65%에 해당하는 수위에 설치돼 있어 저수율이 65%가 될 때까지는 물을 빼고 싶어도 뺄 수 없는 구조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키우고 있다.

태풍이 시간당 110㎜라는 엄청난 폭우를 뿌려댔지만 방수문 하단(65%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빗물은 계속 오어지에 저장만 됐던 것. 이후 방수문을 통해 빗물이 빠져나가기 시작했으나, 태풍이 뿌린 비의 양이 더 많아 저수지 내 수위는 급격히 상승해 순식간에 만수를 기록했다. 즉 수문으로 빠져나오는 물에다 만수가 되며 물넘이를 통해 월류된 대량의 빗물이 한꺼번에 쏟아지며 저수지 바로 밑 상가부터 초토화되기 시작했고 피해는 강 하류 쪽으로 이어졌다.

오어지 바로 밑 주민들은 “6일 새벽 4시까지는 오어지 물이 넘치지 않았다”면서 이후 갑자기 물이 넘쳐 흘렀고 시간이 지나면서 걷잡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태풍이 지나간 후 둘러보니 저수지 하단부에 위치한 이수용 수문마저 작동치않고 그대로 있었다”며 “농어촌공사의 무책임한 처사에 너무 화가 났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오천지역 주민들도 저수지 상단에 위치한 방수문이 아닌, 저수지 하단부에 위치한 이수용 수문이라도 열어 저수지의 물을 일찍 더 뺐더라면 그만큼 오어지가 태풍에 더 견뎠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물이 차올라 65% 지점에 도달하기까지 기다리지 말고 이수용 수문을 통해 물을 내보냈다면, 한꺼번에 대량의 빗물이 방류되는 일은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주민 A씨는 “이번 태풍이 유례없는 피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수차례 경고가 된 만큼, 농어촌공사에 이수용 수문을 개방해 저수율을 더욱 낮춰줄 것을 요구했지만 묵살됐다”며 “결국 급격하게 차오른 물이 대량으로 넘어오며 삽시간에 주변을 덮쳐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농어촌공사는 이러한 지적에 이수용 수문은 기능 자체가 달라 홍수를 대비해 여는 것은 있을 수 없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급수탑과 연결된 이수용 수문은 급수탑에서 수위별로 뚫려 있는 구멍을 통해 농사를 위한 물이 나오는 곳이어서 태풍 대비용으로 여는 것은 큰 위험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설사 물을 뺀다고 하더라도 농업용수를 대기 위한 목적이 오어지의 가장 큰 기능이라 향후 있을 가뭄을 대비하기 위해 저수율을 더 낮추는 위험을 감수할 수 없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오히려 치수 목적으로 지난 2017년 착공해 2020년 완공한 보수사업을 통해 방수문과 물넘이를 정비, 이번 태풍에 200만t 이상의 홍수량을 담수함으로써 더 큰 피해를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했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이수용 수문은 급수탑과 연결돼 있고, 급수탑에서 수위별로 뚫려 있는 구멍을 통해 농사를 위한 물을 빼는 목적이다”면서 “태풍 대비 저수율 지침이 80%다. 오어지는 그 이하까지 충분히 물을 빼놓았으며, 이번 태풍의 피해를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농어촌공사는 취수탑을 통해 이수용 수문으로 뺄 수 있는 오어지 물의 양이 얼마만큼이 되는지, 취수탑의 취수구가 저수율의 어느 부분까지 설치돼 있는지를 묻는 말에는 “그건 알 수 없다”라는 답변만 반복했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