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폭력을 다룬 드라마 ‘D.P’의 한 장면. /넷플릭스

군 복무 당시 후임병들을 상대로 가혹행위를 일삼은 20대 해병대 예비역이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해병대 제1사단에서 군 복무를 한 그는 후임병 3명을 폭행하고 상해를 가했는데, 횟수만 200여회에 달하고, 성고문도 일삼았다.

재판 과정에서 “후임병들을 제대로 교육시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그랬다며 혐의를 인정했고, 이에 재판부도 “군대를 지옥으로 만들었다”며 꾸짖었다. 하지만 “피고인 본인도 후임병 시절 상급자로부터 폭력을 당한 적이 있다. 이를 감안하면 이 사건 책임은 피고인에게만 돌리기 어렵고, 상급자들에게 군대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며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드라마 ‘D.P.’는 군대 내 가혹행위와 성폭력, 온갖 부조리함을 생생하게 묘사하면서 남성 시청자들의 트라우마를 건드렸다. 드라마에서 조석봉 일병은 폭력의 피해자다. 입대 전 순박한 미술학원 선생님이었던 그는 선임들의 가혹행위에 시달리면서 점차 폭력을 학습한다. 폭력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역설적이게도 폭력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부당한 힘에 동조하는 것, 그것이 양심과 정의에 반하는 일이라도 구조에 편입하는 것만이 폭력의 피해자가 스스로를 구원하는 길이다.

조석봉은 후임 병사들을 집합시켜 얼차려를 준다. 그러자 이등병 중 고참인 안준호 이병이 만류한다. 폭력의 대물림을 끊자는 안 이병의 말에 조석봉이 답한다.

“네가 뭘 얼마나 맞았다고. 디피라서 부대에 있지도 않았으면서.” 조석봉의 대사는 군대의 위계질서, 나아가 폭력의 메커니즘이 어떻게 구동되는지를 잘 드러내준다. 군대에서 남성들은 함께 구타당하면서 공동체의 유대감을 획득한다.

“맞아야 정신차린다”는 말을 당당하게 할 수 있으려면, 그 자신이 먼저 충분히 맞아야 한다. 군대 내 구타와 가혹행위는 통과의례 성격을 띤다. ‘마음의 편지’를 쓰거나 탈영을 해서 학대를 회피하는 것은 낙오자가 되는 일이다. 맞아야 때릴 수 있다. 폭력을 유지시키는 메커니즘이란 결국 ‘폭력을 특별하게 하기’다.

얼마 전 국방부의 홍보 영상이 논란을 일으켰다. 문제가 된 건 “군대라도 다녀와야 어디 가서 당당하게 남자라고 이야기하지”라는 대사다.

군대에 다녀오지 않으면, 혹은 군대를 갔다 하더라도 ‘제대로’ 군 생활을 못하면 남자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 사회의 통념이기도 하다. 한국 남자들은 어릴 적부터 ‘용인된 폭력’을 배운다. 동생이 두드려 맞고 오면 보복해줘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도 여자 친구를 지켜야 한다. 이때 폭력은 정당화된다. 보복하지 못하고, 지키지 못하면 ‘쪼다’가 된다.

군대는 ‘보복할 수 있는 남성’, ‘지킬 수 있는 사나이’를 양성하는 곳이다. ‘적’을 응징하는 합법적 폭력을 체화한 ‘전사’를 길러내기 위해 ‘순수한 폭력’이 권장된다. 김현은 ‘르네 지라르 혹은 폭력의 구조’에서 “순수하고 합법적인 폭력의 초월성은 나쁜 폭력의 내재성을 이겨낼 수 있다고 믿어야 한 사회는 유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군대는 때때로 불순하고 비합법적인 폭력을 순수하고 합법적인 폭력으로 만들면서 초월성을 부여한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 초월적 폭력의 피해자로 남지 않으려면 방관자, 가해자, 투사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데, 가장 쉬운 게 가해자 되기다. 조석봉은 가해자가 되는 쪽을 택했으나 가해의 질서에 적응하지 못한 채 투사로 전환한다. 부대를 탈영해 전역한 선임을 찾아가 복수하지만, 투쟁의 결말은 비참한 총기자살로 맺어진다. 폭력의 대물림에서 이탈하고, 폭력의 구조를 깨뜨리기 위해 몸부림치며 저항했지만, 결국 스스로를 가장 끔찍한 폭력의 과녁으로 만들며 죽을 수밖에 없던 것이다.

속죄양은 공동체를 통합시킨다. “상호적 폭력에서 일인에 대한 만인의 폭력으로의 이행이 바로 모든 문화의 기원”이라는 김현의 말을 상기해본다. 상급자들의 성폭력과 피해 사실을 은폐하는 공군 내부의 거대한 부조리함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이예람 중사를 비롯해 군대에서 남성에게 학대당한 여성들의 사례를 추가하자면, 군대라는 집단의 특수성은 한국사회를 지배하는 남성중심의 젠더 권력으로 확장된다. 이 남성중심의 젠더 권력, 페니스 파시즘이 속죄양을 도륙하는 섬뜩한 제의를 우리는 자주 목격한다.

故 변희수 하사에게 쏟아진 댓글의 십자포화, 일인에 대한 그 만인의 폭력은 참으로 잔혹하지 않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