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울로 소렌티노 감독 ‘그레이트 뷰티’

‘그레이트 뷰티’포스터

이것은 한 도시에 관한 영화다. 수 천년의 찬란한 유산과 숱한 이야기들을 쌓아 올린 거대하고 아름다운 도시 로마에 관한 이야기다. 하지만 로마의 역사와 유적, 그 속에 담긴 어떠한 이야기도 끄집어 내지 않는다. 지금 현재 로마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지중해를 중심으로 거대한 제국을 형성했던 로마는 통치를 위한 각종 제도를 만들고, 제국의 이름에 걸맞는 부를 형성하고 그 기반 위에 유적과 유물, 풍습을 만들어 나갔다. 어느 것은 거대했으며, 어느 것은 치밀했으며, 어느 것은 독창적이었으며, 어느 것은 복합적인 정서가 함유되었으며, 도덕적이며 문란했으며, 현학적이기도하고 심오하기도 한 것들이 혼재되어 있었다.

영화 ‘그레이트 뷰티’는 기원 전부터 형성된 문명, 수 세기를 쌓아 온 모든 것들이 유산과 유적으로 남아 있는 로마를 무대로 당대와 고전, 성과 속, 예술과 속임수, 삶과 죽음 같은 이질적인 것들의 대비를 통해 질문을 던진다. 이 질문은 기원 전 로마에서부터 제국을 건설한 시대를 거쳐 흥망성쇠의 과정을 통해 무너지고 남은 것들, 다시 복원된 것들의 도시 로마를 살았었고 살아가는 이들 모두에게 던져졌던 질문일지도 모른다.

26살의 나이로 로마로와 65번째 생일을 맞이하는 젭의 생일 파티에는 로마 상위 1%의 셀러브리티로 가득하다. 40년 전 한 권의 소설로 화려하게 데뷔해 “소위 상류사회라는 소용돌이 속으로” 빠르게 휩쓸려 갔다. 그리고 그 안에서도 왕이 되고 싶었던 젭은 그 꿈을 이루게 된다. 40년 전 마지막 책을 쓴 소설가에게 더 이상 소설을 써야할 이유보다 소유하고 누려야할 1%의 삶이 그곳에 있었다.

아름답고 웅장하며 우아한 유적지의 로마. 그 속에서 ‘진정한 아름다움’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이 던져진다. ‘진정한 아름다움’을 찾지 못해 40년 간 글을 쓸 수 없었다는 젭의 인생은 욕망의 끝에서 만나는 권태와 허무에 가 닿는다. 그 지점에서 젭은 첫사랑의 부고 소식을 들은 후 스스로의 인생을 반추한다. 모든 것이 아름다운 가운데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 아름다움은 어디에서 오는 것이며 무슨 의미를 가지는 것인가.

저 너머, 기억의 저 너머에 있었던 이의 부고로 인해 젭은 자신 앞에 바짝 다가와버린 죽음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게 된다. 죽음을 통해 삶을, 화려하고 극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던 일상 속에서 놓쳐버린 아름다움을 찾아간다.

영화 초반 “삶은 모두 소설과 같은 허구이며 죽음으로 향하는 여행이다. 단지 눈을 감기만 하면 된다. 죽음은 삶의 이면이다”라는 루이 페르디낭 셀린의 소설 ‘밤 끝으로의 여행’을 인용한다. 권태로 찌들어가던 삶, 아니 죽음을 향해가던 인생에서 이면을 보게되는 과정, 죽음을 직시함으로써 발견하게 되는 깨달음. 이 깨달음은 젭의 삶과 세상의 아름다움을 재해석하는 도구가 된다.

수 천년을 쌓아 온 유적지와 그곳에서 살다 간 수많은 사람들. 그들은 화려했거나 초라했으며, 권태로웠거나 치열했을 것이며, 허무했거나 환희에 찬 삶을 살다 갔을 것이다. 그중에 누군가는 질문을 던졌을 것이며, 그 질문에 따라 답을 찾는 여정에 나섰을 것이다.

그리고 기록했을 것이다. 누군가는 글로써 누군가는 그림으로써, 누군가는 음악으로 아름다움을 표현했을 것이다.

그것이 그때는 ‘진정한 아름다움’이며 ‘진실’이었으며, 어떤 것은 거짓이고 속임수였을 것이다. 그렇게 쌓아 올렸을 거대한 유산, 거대한 아름다움이 가득한 도시 로마에서 젭은 ‘진정한 아름다움’을 찾기 위한 산책에 나선다.

“저 너머엔 저 너머의 것이 있다. 나는 저 너머에 있는 것은 다루지 않겠다. 그리하여 이 소설은 시작된다. 결국 다 속임수다. 모든 게 속임수다”라는 젭의 대사처럼 삶과 죽음의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소멸과 생성을 반복하는 아름다움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Engine42 대표 김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