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철없던 시절 피천득 선생의 글 ‘인연’을 읽다가 아쉬움에 잠기곤 했다. 영화 ‘쉘부르의 우산’에 나온다는 초록색이 고왔던 우산의 주인 아사코. 왜 선생은 아사코와 작별해야 했을까. 아사코와 이뤄진 세 번의 만남은 각기 다른 색깔과 향기로 다가온다. 소녀에서 처녀로 다시 가정주부로 선생을 만난 아사코. 그들의 마지막은 너무도 적막했다.

말 한마디 제대로 하지 못하고 인사만 해대는 아사코의 비애 같은 것이 여과 없이 전해지는 것이다. 차라리 마지막 만남은 없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선생은 회고한다. 왜 선생은 굳이 아사코를 마지막까지 만나야 했을까, 하는 궁금증이 든다. 남의 아내가 된 여자를 굳이 만날 필연의 까닭이 있었던가!

얼마 전 졸업생이 ‘파안재’를 찾았다. 그는 1년에 두어 번 내 집에서 하룻밤 묵고 간다. 언젠가 우리가 만난 세월을 돌이키니 30년에 이르는 시간이었다. 우리를 묶어주는 인연의 끈이 무엇인가, 생각한다. 어떤 사람은 한두 번만으로 인연이 다하는데, 누구는 장구한 세월, 인연이 이어지기도 한다. 그런 차이가 생겨나는 인연의 근저에 자리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내게는 50년 된 친구도 있고, 30년 넘게 이어오는 벗들도 적잖다. 어느 때는 가족보다 더 깊고 편하게 마음을 주고받는 일도 있다. 무엇이 우리를 오래도록 이어주고 있는 것일까?! 그래서 ‘인연’을 생각하는 것이다. 붓다는 연기설(緣起說)을 설파했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 이것이 소멸하면 저것도 소멸한다.” 이른바 인과율로도 해석 가능한 논리가 연기설이다.

내가 있으므로 그대가 있고, 내가 소멸하므로 그대 또한 소멸한다. 그대가 있기에 내가 있고, 그대가 소멸하기에 나 역시 소멸한다. 나와 제삼자의 관계에서 출발은 언제나 ‘나’다. 내가 진정한 자아, 참된 자아일 경우에만 나와 제삼자의 관계, 인연이 시작된다. 30년 세월 만남을 이어오고 있는 나와 졸업생 사이의 관계는 그런 것이리라.

만남의 사이가 조금 뜨면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전화를 주고받는다. 짧은 안부 인사로 안녕을 확인하고,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것이다. 그는 내게 가르침을 받았으므로 ‘사제’ 관계라 할 수도 있을 터. 하지만 나는 스승과 제자라는 말을 아주 싫어한다. 스승 자격도 없는 자가 스승을 참칭(僭稱)함은 정신적 범죄와 다르지 않다.

붓다가 설한 인연의 시간에서 사제 관계가 가장 긴 것은 그런 연유다. 붓다에 따르면, 부부가 7천 겁, 부모 자식이 8천 겁, 형제가 9천 겁, 사제가 1만 겁이다. 신생(新生)의 불교가 우뚝 서도록 갖은 노력을 기울인 제자들을 향한 붓다의 사랑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그런 제자를 둔 붓다와 저잣거리의 비속한 인간인 나를 동렬에 둘 수는 없는 일이다.

가을장마 사이에 찾아온 졸업생과 늦도록 술잔 주고받으며 인생의 장면 하나를 만드는 즐거움을 맛본 유쾌한 하루였다. 신이여, 그를 축복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