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환경운동연합 ‘물의날’ 성명
낙동강 최상류 경북 봉화에 위치
51년간 중금속·공해물질 내뿜어

22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세계물의날 기념식에서 한정애 환경부 장관과 김경수 경남도지사, 이병진 부산시장 권한대행 등 참석 내빈들이 온라인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와 구미의 갈등 원인인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를 낙동강 최상류인 경북 봉화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시각이 나왔다. 경북 봉화군에는 영풍석포제련소가 있다.

대구 환경운동연합은 22일 ‘페놀 사태 30주년·세계 물의 날 기념 성명서’를 통해 “낙동강 화학물질 이야기가 나오면 단골손님처럼 등장하는 이야기가 취수원 이전인데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소리’”라며 “낙동강 최상류에는 영풍제련소가 존재하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또 “영풍제련소는 1970년부터 2021년인 오늘날까지 무려 51년간 비소, 카드뮴, 납, 불소 등의 수많은 중금속과 공해물질을 내뿜으며 낙동강 최상류를 오염시켜왔다”며 “불과 2∼3년전인 2018년과 2019년에도 중금속 폐수를 방류해 각각 조업정지처분 20일과 60일을 받은 일이 있었지만, 영풍은 관리감독 기관인 경상북도가 내린 행정처분을 거부하고 소송에 소송을 거듭하며 공장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영풍제련소의 낙동강 오염의 역사는 무려 반세기가 넘는다”며 “군사정권 시절이었기에 가능했던 일이 어떻게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지를 도무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30년 전 페놀 사태에 대해서도 환경운동연합은 “구미 공단에 위치한 두산 전자가 페놀 원액 30t을 낙동강에 유출시켰던 1991년, 정수 과정을 거쳤음에도 악취가 나는 수돗물이 각 가정에 공급됐던 것은 페놀이 낙동강 원수 수질 검사 항목에 들어 있지 않았고 정수 수질 검사에서도 월 1회만 시행하도록 한 규정 때문이었다”면서 “페놀 사태 이후 관련법이 개정되고 고도정수처리 기술이 도입되었지만 낙동강 물길을 따라 촘촘히 들어선 각 지역 산업단지는 지금도 여전히 낙동강을 위험으로 내몰고 있다. 2018년 터진 과불화화합물 사태가 이를 증명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최소한의 안전장치에 불과하지만 수돗물 안전을 확보하려면 폐수 무방류 시스템 의무 도입, 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화학물질 사용 제한 등 산단 관리를 강화해 유해화학물질이 낙동강으로 일절 흘러들 수 없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한편, 구미시의회는 23일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반대 특별위원회 제3차 회의를 개최한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