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부터 시작된 ‘포항 주소갖기 릴레이 챌린지’ 운동이 성과를 내고 있다. 포항시 인구는 지난 2015년 51만9천584명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그 후 매년 2천명 이상 감소했다. 올 1월 말에는 50만2천736명까지 떨어졌다. 그러다가 3월 3일을 기준으로 50만3천216명을 기록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인구가 많이 증가한 것은 아니지만 다소 회복세를 보인 것만으로도 포항시로서는 한숨 돌리게 됐다. 이강덕 포항시장이 첫 주자로 나서 시작한 포항사랑 주소갖기 운동에 시민들이 적극 동참해준 결과로 평가된다.

포항은 그동안 철강공단의 장기적인 침체와 청년층 유출, 지진 등의 영향으로 인구감소현상이 지속돼 왔다. 5년여 사이에 인구가 1만7천여명 줄어든 것은 위기경보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포항시 인구는 조만간 50만명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인구가 50만명 이하로 줄어들면 대도시 수준의 각종 특례지원을 받지 못해 도시위상이 크게 떨어진다. 경북도를 대신해 포항시가 직접 처리하는 사무특례혜택이 사라지고 재정교부금도 절반으로 줄어 들어 시민들이 손해를 본다. 구청과 경찰서, 소방서 등의 행정조직에도 변화가 생겨 공무원도 감축시켜야 한다. 포항시가 인구 50만 마지노선을 지키기 위해 전력을 쏟아야 하는 이유다.

현재 포항시뿐만 아니라 경북도내 대부분 시·군이 인구감소로 인해 비상이 걸렸다. 도내 23개 시·군 중 80%가 넘는 19개 시·군이 소멸위기지역에 속하고, 7개 시·군은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발표됐다. 출산율이 줄어드는데다 인구가 수도권으로만 몰려들고 있으니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로서는 속수무책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문재인 정부는 수도권에 신도시를 건설하고 기업설립 규제를 완화하는 등 모든 자원을 수도권에 집중시키고 있다. 국회 의석을 비롯한 수도권 권력이 갈수록 비대해져 국가 자원배분과 관련한 의사결정을 대부분 수도권에서 하기 때문이다. 지방소멸의 문제는 결코 지방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금은 국토균형발전이라는 국가적인 난제를 지방자치단체에만 맡겨놓은 형국이다. 비수도권 소멸에 대한 정부차원의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