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두 가지 청사진이 제시됐다.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는 언론 브리핑을 통해 대구경북 행정통합 방안으로 대구경북특별광역시와 대구경북특별자치도 두 가지의 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특별광역시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대등하게 통합하는 방안이고, 특별자치도는 대구시를 특례시로 조정하고 대구시 산하 7개 구를 준자치구로 변경하는 안이다. 공론화위는 이번에 제시된 기본계획안을 바탕으로 여론수렴에 나서 4월말 기본계획을 확정하겠다고 했다. 그리고 적어도 7∼8월께는 주민투표에도 붙일 예정이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시도민의 관심과 열기가 예전만 못한 것이 부담이다. 대구와 경북의 더 큰 미래를 위해 통합하자는 범시도민의 뜻이 처음만큼 열기가 없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생겨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 4월 보궐선거와 최근 불거진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의 국회 통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특별법 상정 불발, 또 코로나 사태와 중수청 입법논란 등 전국적 대형 이슈가 지역현안을 덮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특히 찬성이 우세했던 통합론이 찬반이 비등한 수준으로 떨어진 것도 부담으로 등장했다. 통합 논의가 처음 시작된 지난해 4월 여론조사에서 시도민의 찬성 여론은 반대 여론의 배를 넘었다. 대구는 46.9%, 경북은 55.7%의 찬성률을 보였다.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하더라도 긍정적 의견이 상당했다. 하지만 지난달 중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찬성과 반대의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찬성 40.2%, 반대 38.8%로 오차 범위내에 머물렀다.

공론화 논의 과정에서 일어난 변화인지 알 수 없으나 시도 통합에 대한 지역민의 관심이 촉구돼야 하는 대목으로 보인다. 대구경북의 통합은 일극화되는 수도권 집중에 대응하기 위한 지방단위의 필살 전략 중 하나다. 대구와 경북이 하나로 뭉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 보자는데 있다. 여론조사에서 찬성을 보낸 사람도 강력한 지방정부를 통해 경제가 활성화됐으면 하는 바람을 첫째 찬성 이유로 들었다. 지역의 명운을 건 대구경북 통합론이 지역민의 관심 부족으로 제대로 된 결과를 얻지 못한다면 성공을 말하기 어렵다. 마음먹고 시작한 통합론 지역민의 관심부터 끌어올리는 노력이 있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