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미영 <br>수필가
정미영
수필가

매화 꽃바람 소리의 여리고 긴 여음을 쫓아 도산서원으로 향했다. 오늘 문득 이성부 시인의 ‘봄’ 시구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시인은 민주화에 대한 자유를 열망했는데, 나는 코로나19로 평범한 일상을 조심해야 하는 우리의 현실을 시에 투영했다.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오듯이 혹독한 바이러스도 시간이 지나면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 믿고, 희망의 ‘봄’을 마중하러 길을 나섰다.

산책로에 홀로 서있는 매화나무가 나를 반겼다. 꽃봉오리가 터지는 그 절정의 순간을 돕기 위해 햇살과 바람이 연이어 두드렸다. 나는 줄탁동시(啐啄同時)의 시간을 가만히 숨죽이며 지켜보았다.

매화원으로 들어섰다. 퇴계가 돌아가시기 전까지 그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은 매화였다. 도산매는 지금도 뜰에서 고고한 자태를 뽐내고 있었다. 매화의 매력은 맑고 그윽한 꽃향기다. 암향(暗香)으로 불리는 향기는 ‘귀로 듣는 향기’라고도 부른다. 어디선가 떨어지는 바늘 소리를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마음이 고요해야만 비로소 향기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연유로 매화나무 앞에 섰을 때, 나는 맑은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혔다.

퇴계의 매화 사랑은 유명했다. “매화분에 물을 주어라.”라고 제자에게 말한 뒤, 임종하셨다는 일화는 세상에 많이 회자되고 있다. 방 안에서 매화를 마주보고 앉아 매형(梅兄)이라 부르며 밤새 잔을 주고받고, 취기에 젖어 많은 시를 읊기도 했다. 퇴계가 거닐었던 발자취를 가늠해 보며 나도 매화나무 언저리를 서성였다.

전사청을 지나 선생의 유품을 보관하고 있는 옥진각(玉振閣)에 들렀다. 유물관에서 매화를 투각한 청자 의자 ‘매화등’을 보았다. 청자로 빚은 의자의 둥근 몸체에 당초무늬와 연꽃무늬가 정교하고 화려하게 새겨져 있었다. 청자 의자가 뜻밖이라고 생각하던 찰나에 ‘도산’이란 지명 유래가 떠올랐다. 옛날에 도산서원이 있던 이 곳에 옹기를 굽던 가마가 있었다. 옹기 굽는 산이라 해서 질그릇 도(陶)자, 뫼(山)자를 써서 도산이라 부르는데. 혹시 그 가마에서 매화등이 만들어지지 않았을까, 혼자 상상해 보았다.

매화등을 바라보다가,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의자들을 떠올려 보았다. 의자라는 이름으로 엮이지만 모양과 쓰임새가 다르다. 식탁 의자는 자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식탁 아래에 넣을 수 있게 만들고, 피아노 의자는 몸을 움직이면서 피아노를 칠 수 있게 등받이나 팔걸이가 없다.

우리네 사람과 닮았다. 의자마다 색깔이나 폭신한 정도가 다른 것처럼 사람 또한 생김새나 개성이 저마다 다르다. 의자가 제 몫의 맞춤자리에 놓여 쓰임새에 알맞게 지내는 것처럼, 우리도 자기 역량에 알맞은 자리를 찾아 살아간다면 얼마나 좋을까?

요즘 청년 실업자가 늘고 있다. 학교를 졸업하고도 직장을 갖지 못해 지치고 힘들어 한다. 젊은이들이 자기 몫의 인생을 살고 싶어도 마땅한 직업을 찾지 못해 번민과 고뇌로 하얗게 밤을 지새운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러나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은 분명 저마다 쓰임새가 있다. 시간이 더디더라도 실망하지 말고, 자신의 적성에 맞고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맞춤자리를 찾았으면 좋겠다. 그러면 저마다 각자 자리에서 빛나 보이고, 나와 다른 삶의 존재 방식을 존중받을 수 있으리라.

매화등은 퇴계가 거처했던 방인 완락재(玩樂齋)에서 제 몫을 다했다. 선생이 매화를 감상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해 만든 것으로 날씨가 추울 때에는 의자 밑에 불을 피웠다. 매화등이 따뜻해지면 그 위에 앉아 매화를 바라봤단다. 매화등이 빛나 보이는 것은 매화를 사랑했던 퇴계 선생의 내력을 담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매화등처럼 나도 내 몫의 자리에서 빛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