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현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이재현
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또 다른 말도 많고 많지만 / 삶이란 / 나 아닌 그 누구에게 / 기꺼이 연탄 한 장 되는 것”

많은 사람들 입에 회자되는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 너는 / 누구에게 한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시 ‘너에게 묻는다’)라는 구절로 유명한 ‘연탄시인’ 안도현은 또 다른 시 ‘연탄 한 장’에서 특정한 사람을 지칭함이 없이 사람의 삶 자체를 누구에겐가 연탄 한 장이 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렇다. 사람은 나남 없이 그 어떤 이에게는 따스한 존재이고 존재이어야만 한다.

그런데, 코로나는 사람 사이의 거리를 강제로 벌려 놓았고, 온기를 나누기 어렵게 만들었다. 우리는 계절 감각조차 심드렁하게 두 번째 겨울을 보내고 있다. 머잖아 코로나 이후 두 번째 봄이 다시 찾아 올 것이고 꽃샘추위도 한바탕 위세를 부릴 것이다. 점쟁이는 아니지만 웬만큼 나이가 들다 보니 어느 시기가 되면 또 어떤 고만고만한 소식이 있겠다고 얼추 짐작하게 된다. 꽃샘추위도 지나고 봄이 무르익는 5월쯤이면 슬금슬금 ‘보릿고개’라는 말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릴 것이다. 그러나 다들 어느 정도 먹고 살 만하게 된 지금, 꽃샘추위는 여상히 찾아오는데도 보릿고개, 춘궁기는 우리 머릿속에서 점차 뒷방늙은이처럼 물러나 앉는 듯하다.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김장을 담그고, 광에 연탄 2~3백 장을 들여 놓으면 그 해 겨울나기 채비는 다 끝났다고 했다. 겨울나기가 지쳐갈 무렵인 2월 말쯤 되어 김장 김치가 슬슬 시어질 때가 되면 쌓아 놓은 연탄도 바닥을 보이기 시작했다. 형편 넉넉한 집에서는 참기름 들기름에 봄나물 무치고 생김치 버무려 먹고, 꽉 채워 더 이상 들일 수 없었던 연탄을 겨우내 비워냈던 광안에 다시 채워놓으면 별 문제 없이 이 계절을 느끼고 즐기며 지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여유 있는 집이 또 얼마나 되었을까, 다들 어렵게 살았으니 그냥저냥 아쉬운 대로 자족하며 넘어갈 수밖에.

이런 이야기들이 모두 지난 날의 ‘이바구’, 추억 속의 광경이 됐는가 했는데 보릿고개, 춘궁기라는 단어를 나는 서울 변두리 동네 언덕길에서 다시 듣는다. 연탄이라는 모자를 쓴 ‘연탄보릿고개, 연탄춘궁기’라는 단어로 말이다. 이 겨울의 언저리에서 힘들어하는 이들이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현재의 조사에 따르면 연탄을 난방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가구가 15만여 호 정도 된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전체 세대 수 약 2천260여만 가구(2020년 4월, 행정안전부의 통계 자료)에 비하면 0.7%도 안 되는 숫자이지만, 사람 수가 아닌 세대 수로만 본다면 구미시보다는 2만여 호 적고 경주시보다는 3만여 호 많은, 무시 못할 수의 집들이 아직도 연탄에 의지하여 겨울을 나고 있는 것이다. 아직도 연탄을 때며 산다는 건 연탄가스 마신 것처럼 삶이 위태롭다는 말의 다른 표현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삶 팍팍한 어르신들이 연탄보릿고개를 잘 넘어가시도록 나는 이번 주말에 연탄으로 검은 화장을 하러 갈 예정이다. 연탄 지고 언덕을 오르내리지 않더라도 함께 따스한 연탄 시선으로 주변을 돌아봄이 어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