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코로나19가 모두 삼켜버렸다. 3차 대유행이 약간 고개를 숙이고 백신과 치료제가 떠오르면서 조금씩 저무는가 한다. 하지만 글로벌세상이 펼쳐지면서 아직 안심하기는 이른가도 싶다. 해마다 이즈음이면 긴장하게 하는 뉴스 자락이 있다. 대학입시. 대학에 들어가는 방법이 다양해져 정시 비중이 줄었지만, 학생을 기다리는 대학의 관점으로는 여전히 중요한 입시시즌이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극소수의 수도권 대학들을 제외한 대학들의 정시경쟁률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지방대 경쟁률은 미달을 감수해야 할 만큼 심각하다고 한다. 문제는 어디서 왔으며, 대학은 어찌해야 하는가.

힘든 경제환경과 각박한 사회현상은 젊은 부모들에게 아이들을 낳기 힘들게 하였다. 2000년에 330만이었던 학령인구수가 2020년에는 240만명이 되었다. 학령인구가 거의 30퍼센트나 줄어든 셈이다. 올해 대입정원을 모두 합치면 55만명이라는데, 입시에 응하는 수험생수는 53만명이라고 한다. 수험생이 더 적다. 학령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대입수험생이 줄어들면서 대학들은 정원을 채우기가 어렵게 되었다. 상아탑을 자처하며 고학력 졸업생들을 배출해 내던 대학들은 이제 사활의 갈림길에 서게 되었다.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성과 재능을 대학이 지속적으로 배출해 낼 수 있을까.

대학교육이 끝이 아니다. 디지털문명이 심화되고 4차산업혁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대학에서 배운 것으로 평생을 살기는 어렵게 되었다. 20대초반에 좁은 한 분야를 전공삼아 획득한 학사학위는 긴 시효와 효능을 가질 수 없게 되었다. 모든 것이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자신의 가능성을 드러내고 존재이유를 증명하려면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 ‘나때는 말이야’는 통하지 않는다. ‘내가 다 해본 것’도 이제는 없다. 학문영역의 경계도 무너지는가 하면 전공분야의 구분도 선명하지 않다. 대학생들은 이미 ‘자유전공’을 만들어 스스로 여러 학과의 과목들을 혼합하여 학위를 취득하곤 한다. 문과와 이과의 구분처럼 뒤떨어진 발상은 이제 통하지 않는다.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 젊은 이십대를 가르쳤던 대학은 이제 모든 세대를 교육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새롭게 배울 것들을 세상의 손에만 맡겨둘 수가 없다. 대학이 거두어야 하지 않을까. 모든 지식이 윤리적 기준과 제도적 타당성을 유지하면서 사회에 이롭게 기여하도록 대학이 나서야 한다. 사회적 책임성이 결여된 지식의 오류를 수정하는 일도 대학이 맡아야 한다. 책임있는 ‘평생교육’이 대학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은 이제 모든 세대가 함께 호흡하며 끊임없이 나누는 ‘배움의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세대 간의 나눔과 다양한 집단 간의 토론도 아우르는 ‘소통의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배움과 소통이 일어나면 대학의 내일은 오히려 밝다. 갈등과 분열을 해소하는 공론의 장을 대학이 만들어 낼 가능성에도 기대를 건다.

어제 대학이 젊은이를 기르는데 까닭을 걸었다면, 내일 대학은 사회가 책임있게 움직이도록 이끄는 마당이 되어야 한다. 대학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