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엊그제가 동지였다. 입동에서 시작하는 겨울이 소설과 대설을 거쳐 동지에 이른 것이다. 이제부터 소한과 대한을 지나면 입춘이다. 그날이 왔다고 곧바로 봄은 아님을 경험은 가르친다. 하지만 우리 마음 깊은 곳에는 ‘드디어’ 하는 고요한 탄성이 시나브로 자리하게 될 것은 명백하다. 생명 가진 모든 것들이 기지개를 켜면서 사멸과 적요(寂寥)의 기나긴 터널을 지나 생명과 약동의 시절과 대면하게 되리라.

12월 21일 세계 전역이 코로나19로 동분서주할 때 천상에서는 진기한 장관이 연출됐다. 무려 400년 만에 토성과 목성이 근접하는 보기 드문 천문현상이 관측된 것이다. 그런 일은 앞으로 60년 후에야 재연(再演)된다고 하니, 지금의 40-50세대는 죽어서야 그 소식을 들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이 우주가 제공한 희귀한 장면에 눈과 마음을 돌렸을지 알 도리는 없다. 그래서 더욱 궁금한 게다.

‘별 헤는 밤’에서 우리의 자랑스러운 시인 동주는 별을 향한 그리움과 찬탄과 미구에 다가올 찬연한 봄날의 도래를 노래한다.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하나씩 붙여가던 시인은 별빛이 내린 언덕에 ‘자신의 부끄러운 이름’을 써보고는 흙으로 덮어버린다. 식민지 조선의 백면서생으로 살아가야 했던 지식인의 자화상이 서러웠을 터. 하지만 그는 자기부정의 세계에서 긍정의 세계로 이동한다. 내가 동주를 아끼고 사랑하는 소이는 거기 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거외다.” (‘별 헤는 밤’ 마지막 연)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멀리 북간도에 있는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아들로, 아버지가 보내주는 학비로 학업을 이어가는 대학생으로, 용정의 이국 소녀들을 기억하는 청년으로 동주는 내면에서 끓어오르는 성찰과 응시를 별로 치환한다. 그리하여 치열하게 자신의 실존을 날카롭게 부정한다. 아름다운 것들의 정화가 쏟아져 내린 언덕 위에 제 이름을 썼다가 황급히 덮어버리는 것이다. 그것을 긍정과 확신의 세계로 환원하는 시인의 내적인 의지가 아름답게 다가온다.

아침 해가 늦게 뜨고, 저녁 해가 서둘러 지는 아파트가 싫어서, 하루가 멀다 않고 일어나는 끔찍한 층간소음을 피해서, 자동차들의 경적과 소란스러움이 징글징글해서 도피하듯 찾아든 농촌의 삶이 어느덧 6년 반을 넘어서는 시점이다. 아침 해는 서둘러 오고, 저녁 일몰은 천천히 찾아오는 곳. 새들의 층간소음에 잠을 깨고, 자동차의 경적마저 고요한 공간. 여기서는 외려 도회의 부산스러움과 시끌벅적함이 더러 그리워진다.

사람은 언제나 얻을 궁리만 한다. 잃어야 얻고, 얻으면 내놓아야 한다는 자명한 이치를 모르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식자나 평균인이나 다를 바 없다. 겨울의 정점이 왔기로, 봄을 향한 그리움이 짙어질 수 있으며, 근본적인 부정이 있고 난 후에야 비로소 긍정의 세계가 문을 연다는 사실이 새삼스러운 아침이다. 언젠가 지나갈, 그리하여 추억으로 남을 코로나19와 온갖 번다한 세상사와 잠시 거리 두고 동주와 함께 천상의 별을 헤아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