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문경수필가
배문경
수필가

1894년 음력 12월 2일, 이날은 갑오농민전쟁 지도자였던 전봉준이 관군에 체포된 날이다. 얼마 전 전주 동학혁명관에 들렀다. 어두운 조명 아래 동학의 역사가 사건별로 붙어있었고 녹두장군 전봉준의 유일한 사진 한 장이 눈에 들어왔다. 다리가 부러진 그가 관원의 들것에 실려 사형장으로 옮겨지고 있었다. 그의 혁혁한 눈빛이 금방이라도 세상을 향해 포효할 기세였다.

앞선 그림 속에서는 짚신을 끌며 동학농민군이 죽창을 들고 세상을 바꾸겠노라 고함지르는 소리가 쩌렁쩌렁했다. 조총 앞에서 전진하지 못하고 그대로 쓰러져 쌓이는 모습들은 처참했다. 많은 사람이 하늘을 향해 고통에 찬 소리로 울부짖었다.

그들을 이끌던 그의 발도 밤새 부르트도록 산하를 헤매고 다니며 살만한 세상을 만들겠노라 노심초사했을 것이다. 풀도 밟고 흙도 딛고 물길도 건너며 세상의 온갖 것을 모두 지났을 그의 발은 누구보다 먼저 앞으로 나아갔으리라.

한 발자국을 뗄 때마다 자신을 조금 더 나은 세상으로 인도해 주었는지 알 길은 없다. 그의 나이 41세에 손화중, 김덕명과 같이 효수를 당한 후 몸은 가족들에게 인도되지 않았고 가솔들은 뿔뿔이 흩어져 몸을 숨겼다. 체포과정에서 동지의 배신으로 다리와 발을 다친 후 그는 걷지 못했다. 부은 발이 그의 사상을 향해 고해성사를 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는 법정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나는 바른길을 걷고 죽는 사람이다. 그런데 반역죄를 적용한다면 천고에 유감이다” 죽음에 다다라 지그시 눈을 감고 절명시를 남겼다. “때를 만나서는 천지도 내 편이더니 운이 다하니 영웅도 할 수가 없구나.”그는 많은 유혹 앞에서도 자신의 결정을 보이기 위해 당당하게 무소의 뿔처럼 죽음 앞으로 향했다.

그의 발 앞에서 내 발을 내려다본다. 내 몸 하나 건사하지 못해 이리저리 치이기만 했다. 스무 살, 교대근무를 하던 내 발은 신발 안에 갇혀 지내는 시간이 훨씬 많았다. 야간근무를 마치고 서너 시간 눈을 붙이고 다시 오후 출근을 하는 삼 교대근무로 나의 발은 잠자는 시간보다 깨어있는 시간이 많았다. 제대로 씻지 못하고 자던 발은 곰팡이가 잠식하면서 자는 시간에도 가려움에 시달려야 했다. 종일 무게에 짓눌려 지상에 그 바닥을 댄 채 머슴처럼 견뎌주던 발의 저항이었다. 가려움과 물집은 약을 먹어도 쉬 낫지 않았다.

쭈뼛쭈뼛하며 제자리를 지킬 때 저항에 앞장선 것도 발이었다. 발과 발이 앞과 뒤를 혹은 옆으로 대열을 갖추었을 때, 무리가 되고 하나의 큰 힘으로 뭉쳐졌다. 태극기의 모서리를 잡고 도로로 나설 때도 나의 발은 정당했다. 손과 머리가 보이는 것에 집중할 때, 나의 발은 좀 더 성숙했다. 거리의 행렬은 독재 타도를 외치고 발은 정의를 향해 그 보폭을 넓혀나갔다. 나의 스무 살은 거리에서 진실을 규명하는 일로 보내는 날이 많았다.

전봉준의 발, 그의 고뇌와 삶의 그림자가 나를 흔들어 깨운다. 지나고 보면 악행은 악행으로 선행은 선행으로 각자의 갈림길로 나뉜다. 역사란 거대한 길을 따라가다 보면 그를 만난다. 보부상처럼 방방곡곡을 헤집고 다녔을 그의 발은 뻗은 산맥과 깊은 계곡처럼 갈라 터졌을 것이다.

죽음 앞에서조차 퉁퉁 부은 발은 그가 만들고자 했던 세상의 땅을 딛지 못했다. 목숨을 내놓아야 했던 그의 절규 앞으로 나아가 슬픔에 가닿는다.

그의 큰 발걸음을 생각한다. 어둡고 눅눅한 세상을 개벽시키려 했던 그의 기개가 느껴진다. 두 발이 만들어냈던 좁은 영토의 큰 발자국. 아직도 끝내지 못한 숙제를 담고 세상은 돌아가고 있다. 역사는 진보하고 있는 것일까. 그와 함께 목숨을 내놓고 싸웠던 수많은 사람들이 만들고자 했던 세상은 여전히 혼란 속에서 몸부림친다.

전시관 문을 열고 나서자 겨울 한풍이 매섭게 불었다. 칼바람에 맨몸으로 나섰을 그가 내 앞을 지나 저벅저벅 앞서 걸어가고 있었다. 오늘 다시 그 기억이 되살아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