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2020년은 어떻게 기억될까. 눈부신 문명을 쌓아 올리던 가운데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의 공격으로 온 세상이 얼어붙었던 한 해. 치솟는 감염자 숫자에 마음을 졸이며 삶의 가닥들이 쪼그라들었던 일 년. 사계절을 건너고도 꺾이지 않는 기세 앞에 다음 세대마저 위태로운 오늘. 코로나와 함께 수능의 아침이 밝았다.

우리만큼 대학입시에 목숨을 거는 나라가 없다. 수능시험이 헤드라인 뉴스가 되는 나라. 사찰과 교회에서 정성을 다해 기도하는 부모. 하루의 승부에 인생을 거는 수험생 자신. 고등학교 졸업생이 대학 신입생 정원보다 적다는데도, 대학을 가기 위한 경쟁은 잦아들지 않는 모습. 초중고 공교육이 대학입시로만 향하는 습관과 제도. 대학을 나와도 취업전선에 일자리가 사라진 사회. 누구도 정색하고 따져 묻지 않는 수능. 정부와 학교, 가정과 사회는 길들여진 나머지 문제의식마저 실종된 느낌이다. 코로나의 습격으로 교육의 모습이 몇 달째 일그러진 끝에 수능은 다가오고 말았다.

일정을 연기했던 뒤라 더는 양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또다시 기승을 부리는 바이러스와 정면대결을 하듯 수능을 치러야 한다. 수험생에게 미안하다. 대학 간판이 그 어떤 안정적인 성공을 보장하지도 않는 터에 나어린 고등학생들이 입시의 질곡을 아직도 겪는 일은 구태가 아니고 무엇인가. 선생님에게도 미안하다. 사람 만드는 교육을 기대하며 교사로 헌신했을 당신이 대입 성공을 기준으로 일과를 지내게 만든 일도 구태가 아니고 무엇인가. 학부모에게 미안하다. 당신의 ‘나 때’만큼 대학이 일생을 보장하지 못하는 걸 뻔히 함께 보면서 아직도 당신의 자녀들을 대학입시에 매달리게 하는 일도 구태가 아니면 무엇인가.

세상은 빛의 속도로 바뀌는데 수능은 거북이처럼 제자리걸음이다. 먼저, 수능을 학생들 간에 ‘실력’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한 시험에서 해방하여 대학교육을 받기 위한 최소 기준과 소양을 확인하는 ‘인증’ 시험으로 전환해야 한다. 일 년에 단 하루 제공하는 시험에 그의 일생이 달린 듯한 분위기부터 바로잡아야 한다. 수능을 건강하고 교육적인 틀 안에 들어오는 인증시험으로 바꿀 수만 있다면, 수험생도 학부모도 부적절한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지지 않을까. 그런 다음, 일 년에 단 한 차례 제공하는 일정 관행도 수정해야 한다. 학생들이 편안하게 준비하여 대학을 향한 꿈과 비전이 무르익었을 적에 시험에 응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기회를 여러 번 제공하여 유연하고 자유로운 인증시험으로 자리를 잡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그런 후에, 대학 입학을 위한 최종 선발은 대학이 책임지고 자율적으로 진행하도록 바꾸어 갔으면 한다.

코로나 수능. 기억에 남을 오늘 시험에서 수험생들이 각자의 실력을 마음껏 발휘하기를 기원한다. 보고 듣는 것처럼, 나라와 사회에는 바꾸어야 할 일들이 태산처럼 쌓여있다. 수능의 폭풍이 지나간 후에, 세상을 어떻게 바꿀까 기대하며 구상하는 젊은이들을 캠퍼스에서 만나고 싶다. 코로나는 지나가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