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 큰 틀 맞추기 착착
5천552억 유치 성과 이어 ‘재사용 불가 배터리 재활용’ 실증 착수
하대성 道 부지사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클러스터 유치에 총력”

경북의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기업들의 투자 역시 줄을 이으며 ‘배터리 리사이클링’의 큰 틀이 짜여지는 모양새다.

30일 중소벤처기업부와 경북도는 포항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가 지난해 7월 특구로 지정된 이후 10개 기업으로부터 5천552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에코프로지이엠이 860억원을 투자해 전구체 생산 라인 공장을 신설한 것을 비롯해 특구사업자 7개 기업이 2천202억원을 투자한다. 포스코케미칼은 이차전지 음극재 공장 건립에 2천500억원을 투자하는 등 배터리 관련 3개 기업이 3천350억원을 투자한다.

중기부는 포스코케미칼이 이차전지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음극재 공장을 내년까지 건립하면 인조흑연 음극재의 국내 생산이 가능해져 가격 경쟁력 확보와 음극재 시장 점유율 상승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투자 유치와 발맞춰 행정적인 사업 추진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경북도는 ‘재사용 불가 배터리 재활용 실증사업’이 착수에 들어갔다고 30일 밝혔다.

경북도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는 지난해 7월 지정된 이후 올해 7월 착수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 실증’과 ‘배터리 종합관리 실증’에 이어, 이번에 ‘재사용 불가 배터리 재활용 실증사업’에 착수함에 따라 배터리 리사이클 산업화의 기반을 갖추게 됐다.

그동안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배터리 배출량은 급격히 증가되나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에 대한 지침이나 기준이 없어 배터리 관련 기술개발이나 산업화 과정에 어려움이 있어왔다. 이에 경북도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사업을 통해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활용 기준을 만들어 배터리 리사이클링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이를 선점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착수하는 ‘재사용 불가 배터리 재활용 실증’에서는 반납 받은 배터리의 매각 대상과 기준, 절차 등을 마련한다.

실증기간 동안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설비 및 프로세스로 배터리의 파·분쇄 공정을 통해 유가금속을 회수하고, 일정이상의 수율이 나오게 되면 국제시세를 고려해 배터리 매각기준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특히, 정부가 사용 후 배터리의 민간매각을 허용하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내년 6월까지 추진한다고 밝혀, 매각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이번 실증의 중요성이 커졌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은 ‘제2의 반도체’, ‘미래 산업의 쌀’이라 불릴 만큼 성장세가 뚜렷한 산업이나, 국내에서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배터리 핵심소재-배터리 완제품-전기차’로 이어지는 배터리산업 생태계 구축이 어려웠다.

경북도와 중소벤처기업부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를 통해 산업화를 위한 제도 마련과 함께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이차전지 원료광물 자립화 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대성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 지정으로 경북은 이차전지 전·후방산업 기업 유치, 중앙부처 후속사업 확보 등 명실상부 이차전지 거점 도시가 됐다”면서, “특구사업의 목표인 사용 후 배터리 활용기준 마련을 차질 없이 수행하고, 기업유치와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유치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도 “실증을 통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니켈, 망간, 코발트 등 배터리 소재를 폐배터리에서 추출할 수 있게 되면 경제적 추출방안이 마련되고 추출된 금속은배터리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어 국내 배터리 기업의 소재 확보 유연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경북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는 실증 착수 전인 지난 1월 재활용 사업자인 GS건설의 1천억 투자 협약식에 대통령이 직접 방문하는 등 성과를 냈다. /이창훈·전준혁기자

    이창훈·전준혁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