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욱 시인
김현욱 시인

작년 초, 동병상련(同病相憐)했던 정 많은 지인이 세상을 떠났다. 향년 38세. 이름도 생소한 소장암. 병원 입원 세 달 만에 병세가 급격히 악화되어 손 한 번 제대로 써보지 못하고 황망히 눈을 감았다.

병문안을 갔다가 피골이 상접한 모습에 마음이 너무 아파 병실 밖에서 울먹거렸다. 발인(發靷) 때, 운구(運柩)에 참여해 착하고 따뜻했던 지인의 마지막 가는 길은 지켜보았다. 공자의 수제자인 증자가 이런 말을 남겼다. ‘새는 죽을 때 그 울음이 슬프고, 사람은 죽을 때 그 하는 말이 착하다.’ 열 살 외동딸에게 지인이 남긴 마지막 유언은 분명 슬프고 착한 것이리라.

인생무상(無常).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하지만 사실, 무상(無常)은 덧없음, 허무함을 뜻하는 게 아니다. ‘모든 것은 변한다’라는 뜻이다. ‘주역(周易)’을 ‘역경(易經)’이라고도 하는데, 영어로 ‘Book of Changes’로 변역한다. 변화의 원리가 담긴 책이다. 무상(無常)은 변화에 가깝다. 모든 것은 변한다. 그러니까, 괴롭다.

붓다는 괴로움을 세 가지로 설명했다. “첫째, 태어나 늙고 병들어 죽는 것, 싫어하는 것(사람)과 만나는 일, 좋아하는 것(사람)과 헤어지는 일, 바라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일은 일반적인 괴로움이다. 둘째, 영원하지 않은 것은 모두 괴로움이다. 셋째, 조건 지워진 것은 모두 괴로움이다.”

붓다는 영원하지 않은 것, 변하는 것을 모두 괴로움이라고 설했다. 내 몸과 마음은 순간순간 변한다. 내 마음대로 어찌 할 수 없다. 이것이 무아(無我)이다. 무아(無我)는 ‘내가 없다’라는 뜻이 아니다. 내 몸과 마음은 영원하지 않고 순간순간 변하기 때문에 무상(無常)이고 무아(無我)이고 고(苦)인 것이다.

붓다는 괴로움의 원인으로 ‘오온(五蘊)에 대한 집착’,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진리로 ‘욕망의 완전한 소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여덟 가지 길의 진리로 ‘팔정도(八正道)’를 설했다.

붓다는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 괴로움의 소멸과 8가지 소멸의 길을 제시했다. ‘장부경’에서 붓다는 수행 방법에 의심이 많은 수밧다에게 위빠사나 수행의 중요성을 설했다.

“내 나이 29세에 출가하여 50년의 세월이 흘렀건만 나의 가르침인 사념처 위빠사나를 수행하지 않고서 구경각 아라한과에 도달한 사람을 나는 아직 보지 못했네. 위빠사나의 실천법인 팔정도(八正道)가 있는 한 아라한들은 계속 출현하고 승가는 끊임없이 발전하리라.”

아침저녁으로 또는 틈날 때마다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을 꾸준히 하고 있다. 누가 명상이 뭐냐고 물으면, 몸과 마음을 관찰하는 것, 자기 스스로를 보는 것, 이라고 답한다. 죄를 참 많이 지었다. 그렇게 통탄하면서도 나도 모르게 날마다 크고 작은 죄를 짓고 있다.

몇 년 전에 아이를 위해서 했던 일이 얽히고설킨 인과(因果)가 되어 나에게 돌아온 것을 관찰명상을 통해 알아차리고는 소스라치게 놀랐다. 가야 할 길이 참 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