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대구경북본부 보고서
2013년 유턴기업법 제정 이후
대구 2개·경북 9개사에 그쳐
인프라 개선 등 전략적 대응 필요

대구·경북의 국내 복귀기업 유치 여건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인프라 개선 등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의 ‘대구경북지역의 국내복귀 기업 유치여건 점검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12월 유턴기업법 제정 이후 국내복귀 기업은 올해 5월까지 총 71개사이며, 중소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복귀기업의 업종별로는 주얼리 업종이 13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는 전기·전자 12개사, 자동차부품 10개사, 신발 7개사 순이었으며,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은 총 11개사(대구 2개, 경북 9개), 전북 17개사, 부산·울산·경남(17개)사다. 대구·경북으로 복귀한 기업의 업종은 자동차부품 4개사, 섬유 2개사, 화학 2개사다.

미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해외로 진출한 자국 기업을 본국으로 유치하려는 국내복귀 촉진 정책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경북도 지역 경기 부진에다 기업들의 해외진출 등으로 전통 제조업이 크게 약화되고 있어 국내복귀 기업의 유치 필요성이 긴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향후 대구·경북지역의 국내복귀 기업이 대규모로 늘어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국내복귀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산업단지, 물류 등의 입지여건이 타 지역과 비교해 다소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산업단지의 경우 규모가 작은데다가 여유 면적도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산업단지의 노후도가 심한 수준이며, 물류 측면에서도 항만과 항공 물류 여건도 불리하다. 공장 스마트화 수준도 지원기반은 취약하고 스마트화 수준이 낮은 레벨이 대부분이며 인력도 미래 성장산업에 근간이 될 수 있는 첨단산업 관련 분야의 인력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기획금융팀 김보현 과장은 “중국 등 아시아 지역에 진출했던 기업들의 경우 진출국의 인건비 상승, 외국기업에 대한 특례 축소 및 규제 강화, 글로벌 무역분쟁, 코로나19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및 생산기지 다변화 필요성에 따른 국내복귀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내 복귀기업을 위한 인프라 등 여건 개선,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성이 높은 업종이나 기업유치를 통한 시너지 효과 제고, 동일 업종 또는 전후방 연관 기업이 집적된 산업클러스터 육성 등 국내복귀 희망 기업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이 필요하고”고 밝혔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