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타격을 입은 화훼산업이 위기 대응과 산업 발전을 위해 수출 시장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30일 국회 입법조사처의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화훼산업 피해와 대책 및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계기로 장기적 관점에서 화훼 산업 발전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정부가 화훼 소비 확대 방안을 발표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효과를 확신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사태 등에 의한 수요 감소뿐만 아니라 화훼 농가 및 산업 발전을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화훼 수요 증대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요 방향으로는 △견고한 화훼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 △수출 시장 다변화 △시장세분화 및 다양한 상품 개발 △꽃 생활화의 확대를 통한 꽃 소비의 인식 개선을제안했다.

2018년 기준 국내 화훼 수출액의 국가별 비중을 살펴보면 일본이 62%로 가장 큰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 미국 14%, 중국 10% 등으로 시장 편중에 따른 위험 부담이 큰 구조다.

보고서는 “경기 변화에 매우 탄력적인 화훼의 수요 증대를 위해 수출 시장 다변화는 필수적”이라며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수출 시장 조사·분석 등을 통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온라인 및 편의점 판매 증대를 위해 시장 세분화와 다양한 상품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기존의 화원은 물론 편의점 소비자 수요까지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상품을 내놔야 한다는 것이다.

꽃 생활화 확대를 위한 소비자 인식 개선 노력도 꾸준히 추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보고서는 “소비자가 꽃을 기르는 것이나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데 대해 아직도 어렵게 느끼는 측면이 있다”며 “정부가 꽃 생활화 정책의 확대·시행을 통해 이런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화훼산업육성 종합계획에 대해서는 이번 사태와 같은 예상하지 못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견고한 계획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