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밑그림' 기본계획수립 용역…도로·철도망 늘려 접근성 개선

대구공항. /자료사진
대구공항. /자료사진

 

국방부가 29일 의성 비안과 군위 소보 공동후보지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을 추진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힘에 따라 신공항 건설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통합신공항을 유럽, 북미 등 중장거리 국제노선이 취항할 수 있는 규모로 건설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기본계획 수립, 기본 및 실시설계 등 후속 일정을 예정대로 추진하면 2026년 군 공항과 민간공항이 동시 개항한다.

◇ 신공항 청사진…현 대구공항보다 2.2배 넓어

새로 건설하는 통합 신공항은 15.3㎢ 규모다. 현재 군 공항 및 민간 공항으로 사용하는 대구 공항보다 2.2배 넓다.

11.7㎢ 땅에 활주로와 격납고 등을 갖추고 주변에 항공기 소음을 줄이는 완충 지역 3.6㎢를 둔다.

공항 건설 이후 항공 수요 변화에 따른 확장까지 고려한 면적이다.

대구 군 공항(K-2) 떠나는 터. /대구시 제공
대구 군 공항(K-2) 떠나는 터. /대구시 제공

유럽, 북미 등 중·장거리 국제노선이 취항할 수 있도록 길이 3.2㎞ 이상 활주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시는 활주로 2개를 건설해 군 공항과 민간 공항으로 하나씩 사용하는 방안을 국방부·국토교통부와 협의할 예정이다.

여객터미널은 연간 1천만명 항공 수요를 처리하는 규모로 지어 각종 스마트 서비스와 편의시설을 갖춘다.

화물터미널은 항공 물류량을 고려해 건설하고, 여객터미널과 분리한다.

군 시설 건설, 주변 지원사업 비용 등 군 공항 건설에 드는 사업비는 약 9조원이다.

제11전투비행단, 군수사령부, 공중전투사령부 등 군 시설 비용은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마련한다.

대구시가 이전지에 군 공항(K-2)을 지어 주고, 기존 K-2 부지를 개발한 이익금으로 비용을 충당한다.

기존 부지 가치는 9조2천700억원으로 대구시가 추산했다. 공항이 떠난 땅은 인근 금호강, 팔공산과 어우러지는 '친환경 수변도시'로 건설된다.

말레이시아 행정수도 푸트라자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등을 결합한 수변도시를 기본 모델로 삼았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에 기반한 대구만의 독창적 스마트시티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 민간·군 공항 2026년 동시 개항…올해 기본계획수립 용역

대구시는 2026년 민간 공항과 군 공항을 동시 개항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신공항 청사진이 될 기본계획수립 용역비로 33억원을 배정해 올해 공개입찰로 용역기관을 선정한다.

1년간 민간·군 공항시설 건설계획과 총사업비 산정, 이전지 및 소음 피해지역 주민 이주 대책을 수립한다.

이후 사업시행자를 지정하고 민간사업자를 공모해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한 시는 국토교통부 제6차 공항개발종합계획(2021∼2025)에 중·장거리 노선을 운영하는 통합신공항 위상이 반영되도록 건의할 방침이다.

공항 접근성 제고를 위한 교통망도 확충한다.

대구시는 도로, 철도 건설로 통합신공항과 대구·경북 주요 도시 간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대구에서 신공항 이전지까지 자동차로 1시간 이상 걸리는 교통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와 철도를 확충한다.

시는 대구 4차 순환도로 개통, 대구 북구 조야동∼경북 칠곡군 동명면 간 광역도로 건설, 중앙고속도로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건설 중인 4차 순환도로는 내년에, 조야∼동명 광역도로는 2024년 개통할 예정이다.

중앙고속도로 확장공사는 2024년 완료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또 동대구역 및 서대구 고속철도역(내년 개통 예정)과 통합 신공항을 잇는 철도망 구축을 추진한다.

시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년)에 이를 반영하도록 지난해 10월 정부에 건의했다.

대구 도심공항터미널 설치, 대구∼신공항 간 셔틀버스 운행 등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