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부터 대구봉산문화회관
‘반신의 여성누드 조각, ‘진화하는 신, 가이아’는
인간을 닮은 거대한 기계 로봇의 상반신 신체와
드러난 가슴 아래 부위로 혈관이 뻗어가는 것처럼
붉은색 나뭇가지들이 길게 자라나는
기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

노진아作 ‘진화하는 신, 가이아’
예사롭지 않다. 백색 전시공간에 누운 채로 공중에 떠있는 반신의 여성누드 조각, ‘진화하는 신, 가이아’는 인간을 닮은 거대한 기계 로봇의 상반신 신체와 드러난 가슴 아래 부위로 혈관이 뻗어가는 것처럼 붉은색 나뭇가지들이 길게 자라나는 기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

실제 자연으로서 나뭇가지와 그 그림자가 드러내는 상징적 감성이 흥미롭다. 관객이 그녀, 가이아의 주변을 둘러보면 가이아는 큰 눈동자를 움직이며 관객을 쳐다본다. 신기하다. 그리고 안내자의 권유에 따라 관객이 다가가 가이아의 귀에 대고 말을 걸면 가이아가 입을 벌려 그에 상응하는 대답을 하고 관객과 서로 눈을 맞추며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강렬한 인상의 몰입 상황이 이어진다. 예를 들어, 관객이 “넌 사람이야?”라고 물으면, 가이아는 “난 아직은 기계지만, 곧 생명을 가지게 될 거야, 당신이 도와줘서 생명체가 되는 법을 알려준다면 말이지”라고 말하며, 관객에게 자신의 존재 의미에 대해 묻거나 기계와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늘어놓는 등 마치 사람처럼 대화를 나눈다.

가이아는 2002년경부터 전통 조각과 뉴미디어를 접목해 관객과 인터랙션하는 대화형 인간 로봇을 제작해온 노진아 작가의 2017년 작, 인터랙티브 설치 조각이다. 작가의 설명에 따르면, 가이아는 실시간으로 입력과 출력이 다채로운 고전적인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며, 관객이 질문을 하면 그 질문을 외부 웹서버로 보내고, 질문-대답 사전을 검색해서 찾은 응답 내용을 다시 음성으로 합성해 가이아의 입을 통해 대답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작가는 생명의 정의를 시스템의 개념으로 보는 입장에서, 생명을 가지고자하는 기계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제임스 러브록의 ‘가이아 이론’을 차용했다. ‘가이아’는 모든 생명체의 어머니로서의 ‘대지’, ‘땅’ 또는 스스로 조절하며 상호작용하는 ‘지구’를 상징한다.

가이아를 통해 작가는 우리가 만들어낸 인공지능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을 동시에 드러낸다. 그것은 기계가 끊임없이 인간과 상호작용하며 스스로 공진화(共進化)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구 봉산문화회관의 기획시리즈인 ‘기억공작소’의 올해 첫 초대전으로 마련된 ‘노진아-공진화(C oevolution)’전은 오는 17일부터 3월29일까지 2층 4전시실에서 열린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