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덕 포항시장이 신년기자 회견에서 언급한 영일만 횡단대교는 포항의 숙원이자 포항시가 지향하는 환동해 중심도시로 나아가는 데 있어 갖춰야 할 필수적 인프라다. 이 사업은 2008년 광역경제권 발전 30대 선도 프로젝트에 포함되면서 최초 거론됐으며 그것이 벌써 10년의 세월을 넘겼다. 2009년 예비타당성 조사에 겨우 포함되면서 정부의 검토사업으로 올라갔다가 또다시 미뤄지는 등 우여곡절을 수도 없이 겪었다. 지난해는 정부가 발표한 예비타당성 면제 사업에서 탈락하면서 이 사업은 아직까지 10년 넘게 표류 상태다. 서해안 고속도로와 남해안고속도로가 완공된 지 수 십년이 지난 것에 비교하면 동해안고속도로에 포함된 영일만대교 사업은 지역균형개발 차원에서도 심한 홀대를 받고 있는 셈이다.

동해안고속도로의 포항∼영덕구간 공사가 2023년이면 완공될 예정으로 있다. 이 도로와의 연결점이 되는 영일만대교가 확정되지 않으면 동해안고속도로의 효율성도 떨어지게 마련이다. 단절된 동해안고속도로의 완성을 위해서라도 서둘러야 할 사업이다. 포항시가 국가사업에 포함시켜 달라는 영일만대교 건설사업의 당위성은 대략 몇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포항에서 대륙으로 연결되는 아시아고속도로의 출발점으로서 반드시 있어야 할 인프라인 점. 그리고 북방교역을 위한 물류이동 수단으로 기능도 당연히 기대된다. 또 영일만 횡단대교는 동해안 관광산업을 촉진할 수 있는 촉매제로서 큰 장점이 있다. 포항지진특별법은 침체에 빠진 포항의 경제를 진작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영일만대교 건설은 포항지진특별법의 의도를 살리고 현실화시키는 데 가장 적합한 사업이다. 또 영일만대교를 포함한 동해안고속도로 건설이 이뤄진다면 국가간선도로의 U자형 고속도로망이 완성돼 국토의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올해 포항시는 지속 발전 가능한 포항을 슬로건으로 삼고 있다. 지진의 충격에서 벗어나고 배터리산업을 진흥시켜 새로운 경제 활로를 모색하겠다고 한다. 여기에 영일만대교 건설이 확정된다면 포항의 경제는 금상첨화 꼴이 된다. 올해는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을 국가사업에 포함시키는데 모두가 전력 투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