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한국 사람은 탁월하다. 한국인의 우수함은 역설적으로 국내에서보다 해외에서 더 많이 발견한다. 땅은 좁은데 사람이 너무 많아서 그럴까, 나라 안에서 두각을 나타내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비슷한 기량을 가지고도 외국에서 뿌리를 내린 이들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남들의 인정을 받는다. 시작은 물론 안에서 했겠지만, 밖에서 나래를 펼친 이들을 우리는 수없이 목격하였다. 물이 좁아서 그럴까, 넓은 물을 겪게 하면 사람이 달라진다. 생각이 자유로와지고 시선이 더 먼 곳에 가 닿는다. 남들을 밟고 올라서기보다 나 자신을 갈고닦아 성숙하려 애쓰게 된다. 발을 딛고 선 곳만 바뀌면 사람이 달라지는 일이 정말로 가능한 것일까.

아들은 공부를 못하는 아이였다. 아빠를 따라 억지로 국내에서 보낸 5년 여 동안 학교는 그를 포기하였다. 아니 본인도 자신을 놓아버렸다. 무엇을 해도 되는 일이 없었다. 선생님들로부터 칭찬과 격려를 매일 받았던 미국 학교와는 달라도 너무 달랐다. 늘 틀렸고 항상 잘못했으며 지적만 한가득 받아오는 게 학교생활이었다. 엄마와 아빠가 들려주는 응원의 목소리마저 가짜처럼 들렸으니까. 힘들고 지치며 재미없고 외로웠지만 달리 방법도 보이지 않아 그냥 그렇게 견딘 몇 년이었다. 그러다 혼자라도 미국으로 돌아가 볼까 생각하였다. 한번 해보겠노라고 아빠엄마를 설득하여 아들은 돌아갔다. 아들이 달라졌다! 안 되는 게 없었다. 정반대의 상황이 펼쳐졌다.

놀기만 좋아해서 그런 걸 즐긴다고 핀잔을 들었던 연극활동으로 뮤지컬 주연을 겹겹이 도맡았다. 무엇을 해도 칭찬으로 가득했으며, 좀 실수를 해도 금방 수정하면 오히려 상을 받았다. 자신이 생각해도 분에 넘치게 졸업식에서는 대표연설을 하였다. 제목은 ‘우리는 모두 다르다.’ 대학을 다니며 기숙사 방에서 차린 카페는 수많은 친구들의 수다방이 되었다. 학교는 오히려 문제의 소지를 없애주며 격려해 주었다. 꿈을 키우켜 학교를 대도시로 옮겼다. 처음 뉴욕에 도착하였을 적에 ‘디즈니 스토어’ 임시점원으로 일했지만 지금은 ‘디즈니 뉴욕’ 정직원으로 회사가 만드는 뮤지컬을 전국에 마케팅한다. 스스로도 ‘꿈 속을 걷고 있다’면서, 애써 지핀 이 불씨를 더 키워가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던진단다. 아들의 긴 이야기를 짧게 적어 보았지만, 적어도 그가 겪은 미국과 한국은 참으로 다르다. 같은 사람 알렉스가 어쩌면 그렇게 다른 모습이었을까.

사람을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있지 않을까. 오늘 그의 모습이 어떠하든지 그로부터 가능성을 찾고 내일을 보아야 한다. 그는 ‘오늘의 최선’이 아닌가. 거기서부터 쌓아 올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 학교가 있고 부모가 있으며 선생이 있다. 가능성의 가닥이 꼭 학과목이어야 할 까닭은 또 어디에 있는가. 공부만 잘 하여 문제만 일으키는 어른이 얼마나 많은가. 멀리 보게 하고 깊이 생각하게 하며 폭넓게 담게 하자. 호연지기, 2020년에는 ‘글로벌 호연지기’를 심기로 하자. 알렉스,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