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을 통합하자는 의견이 공론화장에 올랐다. 대구경북은 원래 한 뿌리고 지방도시가 안고 있는 최악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선 서로 경쟁할 것이 아니라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미래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는 것이 논리 근거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지난 23일 아시아포럼에 이어 26일 송년 기자회견에서도 같은 취지의 발언을 거듭했다. 이 지사는 국회의원 시절부터 대구경북 통합을 주장해와 새삼스럽지는 않다. 그러나 광역단체장으로서는 처음으로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언급해 사실상 공론화시켰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 큰 이슈다. 향후 추진 상황에 따라 지역은 물론 중앙 정치권에도 상당한 파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지사는 “권영진 대구시장도 통합에 동의한다”며 통합론에 대해 양 단체장 간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음도 밝혔다. 대경연구원에 통합로드맵을 의뢰할 것이며 2021년까지 통합을 마무리해 2022년 지방선거에 통합단체장을 뽑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지사의 대구경북통합 제안 배경에는 지방소멸이라는 위기감이 내재돼 있다. 대구와 경북의 위상이 날로 추락하고 있는데 대한 대응책으로 통합이 적절한 돌파구라는 것이다. 대구와 경북은 불과 20여년 만에 청년인구만 70만명이 빠져 나갔다. 포항제철과 구미공단을 중심으로 한 대한민국 산업의 중심지에서 지금은 변방으로 밀려났다. 젊은이가 빠져나간 이곳은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지방소멸이란 위기가 닥쳐와 있다는 것이다.

거대한 수도권 집중에 대응키 위한 대구경북 통합론은 지역의 존망이 달린 중대한 문제며 방향으로서도 적합하다. 대구와 경북의 소모적 경쟁을 지양하고 통합으로 가야한다는 데는 이미 많은 공감대가 있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에는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많다. 세심하고 공감할 수 있는 준비부터 있어야 한다. 경북과 대구는 이미 상생의 길을 모색하는 일에 동참하고 있다. 우선은 쉽고 할 수 있는 일부터 통합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통합신공항과 포항 영일만항 등 대구경북이 시너지를 낼 호재는 얼마든지 많다. 신중하고 치밀한 준비와 지역민의 여론을 이끌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 통합이 대구경북이 살 수 있는 길임을 확인시켜주어야 성공도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