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평점 12년째 하락 상황
교육부, 대입 공정성 강화 이유
2024년부터 폐지키로 해 ‘논란’
외부 입김 차단 목적이라지만
교육계선 “분명한 퇴행 정책”

학창시절 ‘억지로’ 읽은 책 한 권이 인생을 바꾸기도 한다. 학생들의 책 읽기를 생활화하고자 그동안 학생부에 독서활동을 기록해왔지만, 교육부가 최근 봉사활동, 수상경력 등과 마찬가지로 독서 기록 역시 ‘외부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다는 이유를 들어 대학입시에 반영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학생부에서 독서기록란이 이내 사라질 운명이다.

교육부는 지난달 28일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학생부종합전형의 투명성과 공정성 강화를 위해 2024년부터 독서활동 등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모든 비교과 활동을 폐지하기로 했다. 부모를 포함한 외부 영향을 막기 위해 기재 금지사항을 대폭 늘린 것이다. 이른바 ‘조국사태’로 불거진 교육 불평등 문제로 인해 책 읽기조차 아이 스스로 했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동안 열악한 교육 환경에서 어떻게든 아이들에게 책을 읽히려 안간힘을 써온 교사들은 허탈감에 빠졌다. 비교과영역 축소 방침은 사실상 수업을 문제풀이 방식으로만 진행하라는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한다. 비교과 활동에 속하는 독서는 교내 활동 중 학생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분야다. 활동을 기록하는 것보다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독서 습관을 다지는 과정에 의의가 있다.

대학 역시 학생부종합전형 시 학생부에 기재된 ‘독서활동상황란’을 통해 지원자의 관심 분야와 지적 호기심을 파악한다. 학업 역량부터 전공에 대한 흥미, 가치관 등 수험생의 전반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인 셈이다.

서울대의 경우 자기소개서에 고교 재학기간 동안 읽은 책 중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세 권을 선정하고 그 이유를 기술하도록 한다. 자기소개서 문항 하나를 통째로 독서활동에 할애할 만큼 지원자의 독서 경험을 중요하게 여긴다.

포항지역의 한 고교 국어교사는 “학생부에 독서 내용을 기재하는 것은 그렇게 해서라도 아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들이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며 “단순히 독서활동 기록이 ‘부모 찬스’로 왜곡될 수 있어 입시에 반영하지 않겠다는 것은 분명한 교육 정책 퇴행”이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 수준이 이미 퇴보 수순을 밟고 있다는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3일 발표한 ‘2018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서 우리나라의 읽기 영역 평균 점수는 514점(600점 만점)으로 지난 2000년 평가가 시작된 이래 최저 점수를 기록했다. 2006년 556점으로 1위에 오른 뒤 12년 연속 점수가 떨어졌다. 올해는 결국 10위 안팎으로 순위에서 밀려났다. 특히 기초 문장만 이해 가능한 ‘레벨 1’ 이하 학생 비율이 15.1%를 차지해 9년 전인 2009년(5.8%)보다 3배 가까이 늘었다. 실제로 지난해 치러진 2019학년도 수능에서는 상당히 어려웠던 국어 문제 때문에 수험생들 사이에서 ‘불수능’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평소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던 학생들도 당시 국어 과목에서 기대 이하의 낮은 성적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 OECD는 평가 총평을 통해 “한국은 읽기, 수학, 과학 등 모든 영역에서 평균 성취도가 하락한 7개 국가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교육계 전문가들은 초·중학교에서 각종 평가를 없앤 지 10년 가까이 지나면서 학력저하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우리나라의 학력 추락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향후 중국이나 일본과 격차가 더 벌어지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단언컨대 독서보다 훌륭한 교육은 없다.

/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