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소월리 유적서 발견
높이 28㎝ 원통형 삼면에
다른 표정 새겨진 첫 사례
시루·유기물·목재도 확인

1천600여 년 전 한반도 남부에 살던 우리 조상들의 얼굴이 삼면에 새겨진 토기가 출토됐다.

화랑문화재연구원은 최근 발굴조사해온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5세기 경에 만들어진 사람 얼굴 모양의 토기(투각인면문옹형토기·사람의 얼굴 모양으로 뚫어서 만든 항아리형 토기)가 출토됐다고 3일 밝혔다.

연구원은 사람 얼굴 모양이 들어간 토기는 지금까지 경남 진주 중천리유적, 전남 함평 금산리 방대형고분 등에서 출토된 전례가 있다. 하지만 소월리 유적 출토품처럼 삼면에 돌아가며 얼굴 모양이 표현된 사례는 처음 나타난 것이어서 주목된다.

발견된 토기는 높이 28㎝정도로, 토기 윗부분 가운데 원통형으로 낮게 튀어나온 구멍이 뚫려있다. 토기 옆면에는 같은 간격으로 원형 구멍을 뚫어 귀를 표현했다. 각 구멍 사이에 만들어진 세 개의 면에는 조금씩 다르게 표현한 얼굴 무늬를 각각 새겼는데, 각각 무표정하거나 심각한 듯하거나, 말하는 것 같은 인상이다.

토기 표면에 사람 얼굴을 표현하면서 두 눈과 입은 기다란 타원형으로 밖에서 오려냈으며 콧구멍에 해당하는 2개의 작은 구멍은 안에서 밖으로 찔러 만들었다. 콧등을 중심으로 양쪽을 살짝 눌러서 콧등을 도드라지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사람 얼굴이 들어간 옹형토기와 함께 바닥을 의도적으로 떼어낸 시루도 출토됐다. 시루의 몸통 중간 부분에 소뿔모양 손잡이 2개가 붙어있어 두 토기를 서로 결합돼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발굴한 토기의 제작 기법과 특징 등으로 미뤄 5세기 전반 또는 그 이전 시기에 만든 것이며, 당시 유적에서 베풀어진 일종의 의례 행위와 관련됐을 것으로 연구원 측은 추정했다.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구덩이 내부에서는 토기 외에도 유기물, 목재 등이 추가로 확인되고 있어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적의 성격을 분명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언론과 일반인에는 조사 완료 후 공개될 예정이다.

소월리 유적은 금호강의 지류인 청통천 주변에 형성된 넓은 평야를 조망할 수 있는 나지막한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지금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고상건물지(高床建物址)와 구덩이(수혈), 토기가마를 비롯해 고려∼조선 시대의 무덤 등 많은 수의 유구가 확인됐다.

경산/심한식기자 sha1127@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