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 부족 등 원인 지목되지만
절반 이상은 ‘원인 불분명’으로 판단
증상 의심될 땐 곧바로 병원에 가야
단순한 물리치료로 증상 완화 가능
중장년층 여성 환자 가장 많지만
연평균 환자 증가율 20~40대가 높아

‘머리를 왼쪽으로 기울여도 빙글, 오른쪽으로 움직여도 빙글’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짧고 반복적인 어지럼이 나타난다. 아침에 일어날 때나 옆으로 누울 때, 무심코 위를 쳐다보거나 고개를 숙일 때도 짧게 어지럽다. 의학적으로는 ‘양성 돌발성 두위 현훈’, 일반적으로 ‘이석증’이라고 불리는 질환의 증상이다. 내이(귀의 가장 안쪽 부분)의 타원형 주머니(난형낭) 속에 들어있는 작은 조각인 ‘이석’이 난형낭에서 빠져나와 반고리관에서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이리저리 굴러다니게 되는데, 이때 안진(눈 흔들림)과 어지럼이 나타난다.

이석증은 교통사고나 낙상 등에서의 머리에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과 같은 두부외상 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돌발성 난청이나 전정신경염 등의 내이 질환에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석증의 절반 정도는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비타민D 부족 등이 이석증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준희 이비인후과 교수는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이 이석증 환자들에서 이석증이 없는 사람들보다 유의하게 많다는 보고가 있어서 비타민 D 부족이나 결핍이 이석증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이석증 진료 환자는 전 국민의 0.7% 수준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2014∼2018년)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중 이석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석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지난해 37만2천65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4년 30만명에서 연평균 4.8%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 보면 이석증 진료 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2.4배 많았다. 지난해 기준으로 여성환자는 총 26만4천539명, 남성환자는 10만8천115명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60∼80대 이상에서 가장 많이 병원을 찾았고, 중장년 여성 환자가 많다는 점이 특징이지만, 연평균 환자 증가율은 오히려 20∼40대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의료계가 주목하고 있다.

정 교수는 “특발성 이석증의 경우, 고령과 여성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아직 명확한 이유는 규명되지 않았다”며 “최근 이석증 환자에서 골다공증이 많다는 연구결과를 볼 때 고령과 여성에서 폐경기 후 호르몬 변화와 골밀도 감소로 골다공증이 많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어 “20∼40대의 연령에서 직업 및 여가 활동이 다른 연령에 비해 많아서 두부외상으로 인한 이석증의 발생이 최근 많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이석증 진단은 간단하다. 자가진단으로 어지럼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방문, 머리를 돌리면서 시행하는 두위변환 안진검사를 받으면 된다. 두위변환 안진검사는 육안으로 확인하는 안진검사 안경을 이용하거나 전기안진 또는 비디오안진 검사기기를 이용하여 시행할 수 있다. 혈액 채취나 분석 등의 행위가 이뤄지지 않고, 특정 방향으로 머리를 돌릴 때 특이 안진을 확인하기만 하면 된다.

이석증 치료 역시 별다른 수술 없이 단순한 물리치료로 가능하다. 이석증이 확인되면 이석이 다시 귀 속에서 제자리를 찾아가게 하는 이석치환술을 받게 된다.

의사의 도움 아래 환자의 머리를 좌우상하로 돌리면서 이석이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치료법이다. 호소하는 증상에서 이석증이 의심됐지만, 검사에서 이석증이 아닌 것으로 판명날 경우 어지럼, 메스꺼움 등을 막기 위해 전정억제제나 진토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이석증 환자 4명 중 3명은 병원 2회 방문 이내로 치료를 마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바름기자 bareum90@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