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전에 세대(世代)란 ‘어린아이가 성장하여 부모의 일을 계승할 때까지 30년 정도 기간’이라 설명한다. 본래 세대는 전통적 사회에서 가족체계를 구성하는 핵심적 개념이다. 세(世)는 사람의 한평생이고 대(代)는 대신해 잇는다는 뜻이다. 아버지에 이어 장남이 대를 잇는다는 개념이다. 현대사회에 와서는 같은 시대를 살면서 공통의 의식을 가지는 비슷한 연령층의 사람 집단을 가리킨다. 보통 한 세대를 30년으로 보나 급변하는 세상 변화로 요즘은 20년으로 해석하는 이도 있다.

전쟁 후 태어난 베이비 붐 세대, 모바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모바일 세대, 90년대 30대였던 386세대 모두가 한 시대의 특징을 모아 부르는 이름이다. 특히 386세대는 한국사회의 민주주의를 괄목할 만큼 성장시킨 세대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지금은 기득권층 반열에 올라 권력과 특혜를 누리는 세대로 비판을 받는다.

세대교체론이 무성하다. 세월과 함께 자연스럽게 바뀌어야 할 세대 간 교체가 특정세대가 오랫동안 머물며 독점적 혜택을 누린다면 저항에 부딪치는 것은 당연하다. 조국사태 이후 민낯이 드러났다는 386세대에 대한 반발 등이 그런 예다. 20대 국회의 평균 연령이 55.5세라 한다. 역대 국회 중 최고령이다. 60대 이상 의원수가 86명으로 앞서보다 17명이 늘었다. 40대 이하는 53명에서 36명으로 줄고 초선의원 비율도 줄었다.

세대교체론이 등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20대 국회는 일하는 국회가 아니라는 평가도 세대교체론에 무게를 실어준다. 여론조사도 국민 10명 중 8명이 세대교체를 희망한다고 했다. 언감생심 국회의원 입에서 의원 수를 늘리자는 말이 나올 수 있겠나 말이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