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오천읍 문총리에서 흥해읍 곡강리까지 동해바다를 횡단하는 영일만대교 사업은 2008년 이명박 정부시절 광역권 선도프로젝트 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이다.

지역균형 발전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이지만 2011년 경제성 부족으로 평가되면서 사업이 8년째 지지부진하다. 올 1월 정부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사업을 확정하면서 경북도가 1순위로 제출한 동해안고속도로(영일만대교 포함) 건설사업은 또다시 제외되는 불운을 겪었다. 경북도민의 오랜 숙원이자 포항시민의 염원인 영일만대교 건설사업은 거슬러 올라가면 27년 전부터 논의를 벌여왔던 사업이다. 92년 포스코에서 발표한 영일만 광역권개발 기본구상에 포함된 사업이었다.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서남해지역은 서해대교를 비롯 웬만한 섬이면 교량이 대부분 가설됐다. 경북도에 따르면 전국에는 35개의 해상교가 있으나 경북에는 단 한군데도 없다. 인천이 7개, 부산·경기·경남 각 5개, 전남 4개나 된다고 한다.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보아도 영일만대교 사업은 반드시 건설돼야 할 사업이다. 그동안 지역의 경제적 여건도 많이 달라졌다. 영일만항의 완공으로 포항은 북방교역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영일만대교는 영일만항의 남쪽으로 통한다. 포항철강산업공단과 울산공업단지, 부산항을 연결하는 물류수송 기능이 가능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뜻이다. 또 정부가 추진하는 북방교역의 유일한 통로가 되기도 한다. 특히 경북민이 느끼는 SOC 사업에 대한 상대적 소외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속히 서둘러야 할 사업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영일만대교 건설에 따른 예산 확보를 위해 지역 정치권의 협조를 구했다는 소식이다. 청와대도 찾아가 영일만대교 건설의 당위성을 설명했다고 한다. 시의적절한 발걸음으로 보인다. 지금 서두르지 않으면 영일만대교 사업은 또다시 물 건너갈지 알 수 없다. 대교 건설의 당위성을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라도 예산 확보의 근거를 남겨야 한다. 지역 정치권의 협조는 필수적이다. 경북의 대표적 랜드마크가 되고 관광산업 진흥 효과도 기대되는 사업이다. 동해안고속도로의 허리에 해당하는 영일만 횡단구간이 제대로 완성된다면 경북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일만대교 건설에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