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0명대인 나라다.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98명으로 인구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0명대에 진입했다. 합계출산율이란 가임여성(15∼49세)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수다. 0명대라는 것은 한 명의 여성이 1명의 자녀도 갖지 못할 것이란 뜻이다. 일반적으로 인구 유지에 필요한 합계출산율을 2.1명으로 보고 있다. 한국은 이대로 가면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국가가 될 것이란 전망도 여기서 비롯됐다.

정부는 지난 10여 년간 출산 장려를 위해 100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그러나 돌아온 결과는 합계출산율 0명이었다. 올 상반기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91명으로 집계돼 한해동안 태어날 아이가 이제 30만명도 안될 것 같다는 우려다. 2년 전 우리는 한해 출생아수 40만명선이 허무하게 무너졌다. 불과 2년 만에 30만명선이 또 위협 받고 있는 상황이다.

요즘을 욜로(YOLO)시대라 부른다. 인생은 한번뿐이니 후회없이 이 순간을 즐기자는 것이다. 불확실한 미래에 부딪힌 젊은이가 저축 대신 소비를 선택하는 경향을 꼬집어 한 표현이다. 저출산의 근본적 이유도 시대의 흐름이나 배경에 기인한다. 청년 취업난에 시달리는 젊은이에게 출산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출산보다 자기 자신의 생존법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저출산 극복 정책이 어려운 것은 이처럼 사회적 복합 요인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유럽의 출산 증가국은 출산과 육아, 보육 등을 동시에 책임지는 정책을 펴고 있다. 어제는 임산부의 날이었다. 심각한 저출산 문제 극복을 위해 임산부 보호를 위한 사회적 배려가 왜 필요한지를 되돌아보는 시간이었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