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은 2016년 경주지진과 2017년 포항지진을 경험한 곳이다. 경주지진은 대한민국 기상관측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포항지진은 규모는 경주보다 작았지만 피해는 최악을 기록했다. 아직도 지진 후유증으로 많은 사람이 고통 속에 생활한다. 포항지진은 특별법 제정을 두고 2년째 정부와 시름중이다. 포항의 많은 사람이 지진 발생 2년째에 접어들고 있으나 임시 대피소에서 생활을 한다. 일부는 보·배상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집수리도 못한 채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것이다,

지진만큼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는 재해도 없다. 한반도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님을 전문가들이 공식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 가운데 경북지방이 전국에서 지진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기상청과 국토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간(2015년∼2019년 9월)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이상 지진은 총 697건이고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350건이 경북에서 발생했다. 당연히 다른 지역보다 지진에 대비하는 당국의 노력이 더 있어야 할 형편이다.

그런데도 이 자료에 따르면 경북지방의 내진 확보비율은 7.8%에 그치고 있다.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꼴찌에서 두 번째다. 대상건물 66만4천동 가운데 5만1천동만이 내진 시설이 갖춰져 있다는 것이다.

다른 지역의 지진 발생률이 2%를 넘지 않는 현실에 비춰볼 때 경북지방의 내진 확보율은 심각한 수준이라 할만 하다. 지진 발생후 당국의 요란한 대책 발표는 사실상 헛구호에 불과했던 것이 드러난 셈이다.

2017년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한동대 등 포항시내 학교 건물의 일부가 무너지고 대학수능시험이 연기되는 유례없는 일이 벌어졌다. 특히 다수의 사람이 모여 있는 학교와 병원 같은 공공건물의 내진 설계는 포항의 사례로 볼 때 화급을 다퉈 해결할 문제다. 당국의 관심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현재 우리나라 공공시설물의 40%가 지진에 무방비 상태라 한다. 다른 어느 지방보다 경북이 앞장서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내진설계 보완 등의 법적, 행정적 조치에 앞장서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를 범하지 않게 지금이라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