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앞다리 쪽, 혀 내민 모습 등
금령총서 출토… 현존 최대규모
호석 외부서 개배 등 유물 수습
6개월 발굴조사 8일 결과 발표

경주 금령총에서 나온 말모양 토기.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국보 제91호 기마 인물형 토기가 출토된 경주 금령총(金鈴塚)에서 현존하는 최대 크기의 말모양 토기가 출토돼 학계에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금령총 발굴조사 중 무덤 둘레에 쌓는 돌인 호석(護石) 바깥쪽에서 높이가 56㎝에 이르는 신라시대 말모양 토기를 찾아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신라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돌무지덜넛무덤)인 금령총은 앞서 일제강점기 조사에서 신라 토기 중 백미로 꼽히는 국보 제91호 기마인물형 토기가 나온 무덤이다. 당시 이곳에서 출토된 기마인물형 토기 두 점은 높이가 25㎝ 안팎이다.

현존 말모양 토기들을 압도하는 최대 크기의 이번 말모양 토기는 머리와 앞다리 쪽만 발견됐다. 등과 배 부분은 깔끔하게 절단된 듯한 흔적이 있어 의례 과정에서 고의로 깨뜨려 부장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조사단은 설명했다.

말은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민 모습이며, 얼굴·목·발굽 등 각 부분을 정밀하게 표현한 점이 특징이다. 신체 비율도 실제 말과 흡사한 편이다.

신광철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국보 기마인물형 토기와 제작 방법이 거의 동일하다”며 “제작 시기는 금령총을 조성한 무렵인 5세기 말이나 6세기 초로 짐작된다”고 설명했다.

신 연구사는 “국보 기마인물형 토기는 시신을 두는 매장주체부에서 나왔다”면서“이번에 찾은 말모양 토기는 호석 바깥쪽 깨진 항아리 위에서 발견됐다. 항아리 안에 두었던 것인지, 아니면 항아리 위에 얹었던 것인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호석 외부에서 제사용 토기 30여 개체가 나왔고, 그 주변에서 말모양 토기 이외에도 말과 소 같은 포유류 뼈와 조개류, 뚜껑 있는 접시인 개배(蓋杯), 토제 방울, 유리구슬, 쇠스랑이 수습됐다.

한편, 경주박물관은 지난 4월 시작한 제2차 금령총 발굴에서 호석 외부 유물을 수습하는 한편 무덤 조성 방법과 규모를 파악하는 데 집중했다. 금령총 직경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8m가량 더 긴 28m 내외로 확인됐고, 지하식이 아닌 지상식 적석목곽묘로 드러났다. 이로써 지금까지 신라 금관이 나온 적석목곽묘는 모두 지상식 무덤이라는 사실이 규명됐다고 박물관은 강조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오는 8일 현장 설명회를 열어 그동안 발굴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또한 이날 발표회를 끝으로 올해 조사를 사실상 마무리하고 내년 봄 매장주체부를 발굴할 방침이다.

경주/황성호기자 hs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